Category: 두번만 읽으면 끝나는 영문법

  • 영어회화 기본 문장

    영어회화 피와 살, 99문장 1

    • You know what? (그거 있잖아!)
    • It’s a long story. (말하자면 길어요)
    • How did it go? (어떻게 됐어요?)
    • It depends. Depends on the situation. (상황에 따라서 달라)
    • We go by first name. (호형호제하는 사이야)
    • Long time no see. (오랜만일세!)
    • Go ahead. (먼저 하세요)
    • Nothing is impossible. (불가능은 없어)
    • If everything goes according to plan. (일이 다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 Would you do me a favor? (부탁 한 가지 들어주실래요?)
    • How would you like your egg? (계란 어떻게 드시겠어요?)
    • How’s your food? (음식 어때요?)
    • Have a look. (한번 보세요)
    • Come again, please? (다시 말씀해주세요)
    • What did you get? (뭐 주문했어요? / 뭐 샀어요?)
    • First come, first served. (선착순)
    • She’s been looking for her Mr. Right. (그녀는 백마를 타고 오는 초인을 기다리고
      있어요)
    • How many are there in your family? (식구가 몇분이세요)
    • He is her dream man. (그는 그녀의 이상형이에요)
    • Is that your dream job? (그게 너가 꿈꾸던 직업이야?)
    • Give me a ballpark figure. (숫자 대충 알려주세요)
    • You need to get some fresh air. (바람 좀 쐬어야겠어요)
    • I should cool my head. (머리 좀 식혀야겠어요)
    • You’re driving me crazy. (사람 미치게 하는구먼)
    • Speak of the devil.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 What did you get? (뭘 주문했어요? /무얼 샀어요?)
    • His Korean really sucks. (그애 한국말 영 못해)
    • She comes from a large family. (그녀는 집안이 대가족이야)
    • He has a big mouth. (그는 떠벌이야)
    • She has a dirty mouth. (그녀는 입이 걸어).
    • We should not talk about someone behind their back. (숨어서 남의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 My phone is acting up again. (폰이 또 말썽이야)
    • He is such a bad electrician. (그는아주 형편없는 전공이에요)
    • Oh boy, they’re all dirt cheap. (정말 모두 헐값이야)
    • I am bad with directions. (난 방향감각이 없어)
    • He is a people person. (그는 사교적인 사람이에요)
    • They’ve got a chip on their shoulder.
      (그들은 억울해서 한을 품고 있어)
    • In a jiffy. (순식간에)
    • He doesn’t hold a grudge. (그는 뒤끝이 없는 사람이야)
    • She stood me up. (그애가 나를 바람맞췄어)
    • You should move on. (잊을 때가 되었어. 과거를 잊고 앞으로 봐)
    • Get over it. (잊어버려)
    • She hurt me so bad. (그녀는 나를 아주 아프게 했어)
    • In a wink of an eye, he disappeared.
      (눈 깜짝할 사이에 그는 사라져버렸다)
    • You asked for it. (너가 고생을 사서 한 거야)
    • It’s nobody’s fault. (누구의 잘못도 아니야)
    • A little bird told me so. (밤말은 쥐가 듣고 낮말은 새가 듣는다)
    • The gangster didn’t bat an eye.
      (그 깡패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았어)
    • I just blew my exam. (시험 망쳤어)
    • That’s what friends are for. (친구란 그런거야)
    • What are you talking about? (무슨 말을 하는거야?)
    • What’s wrong with you? (무슨 일이야?)
    • I slept in this morning. (늦잠을 잤어요)
    • I can’t wait. (몹씨 기다려져요)
    • Don’t be a backseat driver. (말참견 하지 마세요)
    • I’m running short with money. (돈이 떨어지고 있어)
    • She is at work now. (그녀는 근무중이야)
    • He went to work this morning. (그는 출근했어요)
    • You mean everything to me. (당신은 나의 모든 것)
    • Don’t go away. Stay put. (어디 가지 말고, 그 자리에 가만 있어주세요)
    • Freeze! (꿈짝마!)
    • Your guess is as good as mine. (저처럼 못 맞추네요)
    • Who’s in charge of here? (누가 책임자인가요?)
    • You always blame me. (넌 항상 내 탓을 해)
    • Things have been hectic at work lately. (요즘 회사일에 정신이 없어)
    • What’s up with her? (저 여자애는 왜 그래요?)
    • What are you wearing now? (지금 뭘 입고 있어?)
    • What’s holding you? (뭐가 너를 가로막고 있어?)
    • He got ants in his pants. (그는 안절부절 못한다)
    • That was a close call. (하마터면 큰일날뻔 했어)
    • What do you usually do in your free time? (취미가 무엇이지요?)
    • What are you doing for a living? (직업이 무엇인가요?)
    • Don’t get me wrong. (오해하지마)
    • Why didn’t you take my call? (왜 전화 안 받았어?)
    • She kept me waiting all day long. (그녀는 내가 종일 기다리도록 했어)
    • What’s so cooking? (재밋는 일 있어?)
    • That’s what I am saying. (내 말이 ~)
    • You finally got the hang of it. (마침내 익숙해졌나봐)
    • You gotta go cold turkey to quit smoking. (담배를 끊으려면 당장 결심해야)
    • What’s your take on it? (어떻게 생각해?)
    • He’s not very understanding. (그는 이해심이 깊지 않아요)
    • I’m all ears. (경청하고 있어)
    • It’s a piece of cake. (누워서 잠자기에요)
    • Pie in the sky. (그림의 떡)
    • I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그 말 막 하려던 참이었어)
    • Well, that’s not a good sign. (글쎄, 그건 좋은 징조가 아니야)
    • The thing (point) is . . . (이야기의 요지는 . . .)
    • Thanks for your understanding.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he is high maintenance. (그녀는 사귀기에 돈이 많이 들어요)
    • You never get a second chance to get a first impression.
      (첫인상은 참으로 중요해. 첫번째가 중요해)
    • They finally worked it out. (그들은 마침내 화해했어)
    • You should stay focused. (집중해야해)
    • A picture is worth thousand words. (한장의 그림이 천마디 말보다 값진 것이다. 백문이 불여일견)
    • Mind your own business. (너 일이나 잘 해)
    • You should stay out of trouble. (문제일으키지 않는게 좋아)
    • I’m looking forward to it. (그걸 기대하고 있어)
    • I love you from the bottom of my heart. (진심으로 사랑해)
    • Off the top of my head, ~
      (문득 떠오르는 생각으론, ~)
    • It’ on the tip of my tongue. (입안에서 뱅뱅도는데)

  • ENGLISH 4 FUN

                           
    1. I am in no hurry.
      A fellow was drinking a Tom Collins of second-rate gin at a bar.
      “Don’t you know that stuff is poison that kills you slowly?” said
      the man sitting next to him.
      “Oh, that’s all right.” said the lush. “I’m in no hurry.”
      어떤 친구가 술집에서 질 나쁜 진으로 만든 톰 콜린스(칵텔)을
      마시고 있었지.
      “그건 당신을 서서히 죽이는 독약이란 사실을 모르시오?”
      옆에 앉아있던 사람이 말했어요.
      “오, 괜찮아요. 서두르지 않아요.”라고 술취한 사람이 대꾸했다.

    second-rate 2류의, 질이 떨어지는
    stuff 물건
    Poison 독약, 독주
    the man sitting next to him 그 사람 옆에 앉아있는 남성
    Lush 술취한 사람
    be in no hurry 서두르지 않다

    1. I thought you’d brought it.
      Two American (m…….eers) succeeded in (r….ing) the
      (s….) of Mount Everest.
      두 미국 등반가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It almost (c…) us our lives (c…….) to this top of Mount
    Everest to (p….) the American flag. But it was (w….) it.
    (H…) me the flag, George.
    미국 국기를 꽂으려고 산 정상에 오르느라 우린 죽을 고생을
    한거야. 하지만 보람있는 일이었어. 자, 조지, 깃대를 이리
    줘.

    “The flag? I (t……) you’d (b……) it.”
    국기? 난 네가 가져 온 줄 알았지.
    몇 개 맞았을까.
    Answers: Mountaineers, reaching, summit, cost,
    climbing, pitch, worth, hand, thought, brought.

    1. What does that number mean?
      A group of (e……ary) school boys were (t…ing) the
      British Museum in London.
      초등학교 남학생들이 런던에 있는 대영 박물관을 견학하고
      있었다.

    When they noticed an Egyptian (m….) case was (m…ed)
    “1286 B.C.” One boy asked his friend.

    이집트 미라관에 1286 B.C.(기원전 1286년)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고 한 꼬마가 친구에게 물었다.

    “What does that number (m…)?”

    “저 숫자가 무엇을 뜻하는 거지?”

    “I (g….) it’s the (l……) plate number of the car that (h..)
    him,” (r……) the second boy.

    “아마 저 미라속의 사람을 치어 죽게 한 자동차 번호판
    숫자일거야.” 친구가 대답했다.

    Answers: Elementary, touring, mummy, marked, mean,
    guess, license, hit, replied.

    1. Have you been to any other
      doctor?
      A (p……) went to the (h…….), and the doctor (a….)
      him, “Have you (b…) to any other doctor before you
      came to see me?”
      어떤 환자가 병원에 갔더니 의사가 물었다.
      “제게 오시기전 다른 의사에게 갔었나요?”

    “No, sir. I went to a (d…….),” the (p……) answered.
    “아니오, 선생님, 약국에 갔었어요.” 환자가 대답했다.

    “That (s….) how much sense some people have!” said
    the doctor.
    “사람들이 이렇게 지각이 없단 말이야.”의사가 말했다.

    “And what sort of (i……) advice did he give you?”

    “그래, 그 약사가 어떤 바보 같은 충고를 하던가요?”
    “He told me to come to see you.”
    “선생님한테 가보라고 하던데요.”

    Answers: Patient, hospital, asked, been, drugstore,
    patient, shows, idiotic

    1. Straighten your tie, ( ).
      A bank (r…..) slid a note to the (t…er) which (r…), “This is
      a (h…-up). Hand (o…) cash and (s…) your mouth.”
      은행강도가 은행원에게 “나는 강도다. 현금을 내놓고 입을
      다물고 있어”라고 쓴 쪽지를 내밀었다.

    The lady teller wrote her own (n…) and gave it to the (r…..)
    which read, “Straighten your tie, (s…..). Your picture is
    being (t….).”

    그러자 그 여자행원도 쪽지를 써서 강도에게 주었다. 쪽지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이 지저분한 남자야, 넥타이나 똑바로 고쳐 매라. 당신은 지금
    사진이 찍히고 있다구.”
    Answers: robber, teller, hold-up, over, shut, note, robber,
    sloppy, taken.

    1. Are you also (m…..)?
      A: We’re gonna (m…). We’re (g….) live in a (b…..)
      neighborhood.

    우리는 이사갑니다. 더 나은 이웃에서 살려고 합니다.
    B: So are we.
    우리도 그래요.
    A: Oh, really? Are you also (m…..)?
    정말로요? 댁에서도 이사하세요?
    B: No. We’re (s……) here.
    아니예요. 우리는 계속 여기서 살 거예요.
    Answers: move, gonna, better, moving, staying

    1. A is to B what C is to D
      A: Remember (a…….) is to a newspaper what (v…..) is to a
      woman.
      신문이 정확한 보도를 해야하는 것은 여자가 정조를 지키는
      일과 같다는 것을 기억해야 하지.
      B: That, in itself, is not (e. . . . . . .) accurate, sir. A
      newspaper can always print a (r………), but…
      그 말 자체도 전적으로 정확하지는 않군요. 신문은 언제나
      정정 기사를 내면 되지만…
      Answers: accuracy, virgin, entirely, retraction
    2. I have nothing (l…) for your tip.
      Guest: I’m sorry, but I only have enough money for the
      (b…). I have nothing (l…) for your tip.
      미안하네만, 식비계산할 돈 밖에 없어. 팁 줄 돈이 없어서
      말이야.
      Waiter: In that (c…), let me (a..) up that bill again, sir. 그러시다면 청구서를 다시 써 드리지요.

    Answers: Diner: bill, left Waiter: case, add

    1. I’ve heard enough.
      When a doctor (a . . . . . . ) an old lady to have an (o……..)
      to (im…..) her hearing, she said, “I’m 92 years old and I’ve
      (h….) enough.

    의사가 할머니에게 더 잘 들리게 하려면 수술을 하라고
    권하니까, 노파가 “내 나이 92인데 더 들을 게 뭐 있겠어”라고
    했다.
    Answers: advised, operation, improve, heard

    1. I have nothing (l…) to calculate.
      The day after Christmas, a man said to his pal in the office,
      “My wife game me a (c……..) for Christmas present but I
      have nothing (l….) to calculate.”

    크리스머스 다음날, 한 남자가 사무실 동료에게 하는 말:
    “마누라한테서 크리스머스 선물로 계산기를 받았는데 남은
    돈이 있어야 계산을 하지.”
    Answers: calculator, left

    1. Was he that fresh?
      녀석이 그처럼 철없이 굴었어?
      A: When I (w…) out with Jim, I had to (s…) his face five
      times.
      짐하고 데이트가서 그의 뺨을 다섯대나 때렸어.
      B: Oh, my (g…….)! Was he that (f….)?
      저런! 걔가 그렇게 버릇없이 굴었어?
      A: No. I thought he was (d…) or something.
      아니, 난 걔가 죽은 줄 알았어.
      Answers: went, slap, goodness, fresh, dead
    2. Guess (w…) I need mo$t.
      제게 가장 필요한 게 뭔지 맞춰보세요.
      A college student’s letter to his father: “Dear Dad. Gue$$
      (w…) I need mo$t. $end it (i……….). Be$t wi$hes. Your
      $on, $am.”
      어떤 대학생이 아버지에게 보낸 편지: “아버님께. 제게 가장
      필요한 게 뭔지 맞춰보세요. 그걸 즉시 보내주세요. 안녕히
      계십시오. 아들 샘 올림.”
      Answers: What, immediately
    3. Should I give him his money (b…)?
      그에게 돈을 돌려 드릴까요?
      A (g….) real (e…..) salesperson sold a piece of land to a
      farmer. A few days (l….), (..) rained and the (l…) was
      (c………) under water. “The farmer is going to come back

    here (p…..) mad,” he said to his boss, “Should I give him
    his money (b…)?”
    풋내기 부동산 브로커가 농부한테 땅을 팔았다. 며칠 뒤 비가
    오자 그 땅은 완전히 물에 잠겨버렸다. “농부가 화가 잔뜩 나서
    올 텐데, 돈을 돌려 줄까요?” 그가 사장한테 물었다.

    “Give him his money (b…)?” (s……) his boss. “And you
    think you’re a (r…..) salesman? Get there and sell him a
    motorboat!”

    “돈을 돌려주다니?”사장이 소리쳤다. “그러고도 자네가
    부동산브로커라고 생각하나? 가서 농부에게 모터보트 팔라구!”
    Answers: green, estate. later, it, lot, completely, pretty.
    Back, back, shouted. realtor.

    1. If anything (h……) to you.
      In April 1961, President Kennedy (d……) to send (V…)
      President Johnson to visit a (n…..) of Asian countries, with
      Vietnam as a (k..) stop. Johnson was not very happy about
      going to Saigon.

    1961년 4월 케네디 대통령은 죤슨 부통령이 월남을 주
    목적지로 하여 아시아 각국을 방문하도록 파견을 결정했다.
    죤슨은 사이공에 가는 것을 그다지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Don’t (w….), Lyndon,” said the President (j…….). “If
    anything (h……) to you, we will give you the biggest (f……) the nation (e…) saw.”

    그러자 케네디 대통령은 그에게 “염려 마시오”라며, “당신에게
    만일 어떤 일이 생기면 우리 나라 역대 최대규모의 장례식을
    치러주겠소”라고 농담조로 말했다.
    Answers: decided, Vice, number, key.
    worry, jokingly. happens, funeral, ever.

    1. Rush interview with God.
      When a disastrous (f….) (w….) out a Kansas town. Joseph
      Pulitzer, (p……er) of the New York World, immediately sent
      a (r…….) to cover it. The reporter filed back a story which
      began like this: “God is sitting on his hands as far as this
      town is concerned…”

    대홍수가 캔자스 주의 어느 도시를 휩쓸어가 버렸을 때,
    “뉴욕월드”지의 발행인 죠셉 퓰리쳐는 그것을 취재하기위해
    즉시 기자를 파견했다. 그 기자가 타전해 온 기사는 이렇게
    시작하고 있었다. “이 도시에 관한 한, 하느님은 그저 멍하니
    앉아만 있다….”

    After reading the first line of the story, Pulitzer telegraphed
    an order to the reporter: “Rush interview with God!”
    기사의 첫줄을 읽고 난 퓰리처는 기자에게 지시했다.
    “하느님과 즉시 인터뷰하시오.”
    Answers: flood, wiped. publisher, reporter.

    1. Here or to go, sir?
      A mugger entered a fast food restaurant, pointed a gun at
      the cashier and said, “Give me all your money!”
      강도가 패스트 푸드점에 들러 캐시어한테 총을 들이대고 “돈 다
      내놔! 라고 말했다.

    The cashier said haltingly, “Here or to go, sir?”
    “여기서 쓰실 거예요? 가지고 가실거예요?”

    1. We’ll meet at a restaurant someday.
      Do you know what the male crab said to his girlfriend when
      he was caught by a fisherman?
      숫놈게가 어부한테 잡혀가면서 애인한테 뭐라고 했는지 알아?

    He said, “Don’t cry, darling, we’ll meet at a restaurant
    someday.”
    “울지 마, 언젠가 식당에서 만날거야.”

    1. Otherwise ~
      Father to son watching TV:
      “Go upstairs and study for a change. Otherwise, you’ll never
      be able to read the TV GUIDE!”

    TV를 보고 있는 아들에게 아버지가 하는 말: “2층에 올라가서
    기분전환겸 공부도 좀 해라. 공부를 하지 않으면 “TV가이드”도
    읽지 못해!”

    1. Get a second opinion.
      I’d rather have appendicitis. A lady with stomachache went
      to see a doctor.
      복통을 앓는 여인이 의사에게 갔다.

    He told her she had appendicitis and should have an
    operation.
    의사는 맹장염이니 수술을해야 한다고 했다.

    But she decided to get a second opinion. The second
    doctor said she had heart trouble.
    그러나 그 녀는 다른 의사의 의견도 듣기로 했다. 두번째
    의사는 심장병이라고 했다. 그러자 여인이 말했다.

    “I’m going back to the first doctor,” she said, “I’d rather
    have appendicitis.”
    그러자 여인이 말했다. “첫번째 의사한테 가겠어요.
    심장병보다는 맹장염을 앓는 게 낫지오.”

    1. If it stands on edge, we study.
      Overheard in a college dorm:
      “What shall we do tonight?” “Let’s flip a coin. If it’s head,
      we go to see girls. If it’s a tail, we go to movies. If it stands on edge, we study. OK?”

    대학 기숙사에서 엿들은 대화:
    “오늘밤 무엇할까?” “동전을 던져 결정하자. 동전 앞쪽이
    나오면 여자를 만나러 가고, 뒷쪽이 나오면 영화를 보러가는
    거야. 그리고 만일 동전이 곤두서면 공부하기로 하자구,
    알았지?”

    1. I took them by mistake.
      Judge: Is it true you stole eggs from Mr. Brown’s store?
      Defendant: Yes, Your Honor. I took them by mistake.
      Judge: What do you mean?
      Defendant: I thought they were fresh.

    판사: 브라운씨 가게에서 계란을 훔친 게 사실인가?
    피고: 네, 판사님. 실수로 훔쳤습니다.
    판사: 그건 무슨 소린가?
    피고: 싱싱한 계란인 줄 알았어요.

    1. U.S. Senator Robert Dole, chairman of
      the powerful Senate Finance Committee, once told a
      group of reporters this joke:

    “This guy in my home state of Kansas drives a German car
    made of Swedish steel and Argentine leather to a gas

    station, fills up his gas tank with Arab oil, and buys French
    tires made of rubber from Sri Lanka.

    At home, he hangs up his British wool coat, takes his Italian
    shoes and Egyptian cotton shirt off, and puts on a Hong
    Kong robe and Taiwanese slippers.
    And then he turns on his Japanese TV, puts his TV
    dinner in a Korean microwave oven, pours Brazilian coffee
    into a Mexican cup, fills his Austrian pipe with Turkish
    tobacco, and, finally, picks up his Singapore-made phone
    to complain to me about why the United States has such an
    enormous trade deficit.

    강경파 미국 상원 재정위원장인 로버트 도올 상원의원이
    언젠가 기자들 모임에서 한 놈담:

    “내 고향 캔자스 주에 사는 친구는 스웨덴 강철과 아르헨티나
    가죽으로 만든 독일제 차를 몰고 주유소에 가서는 아랍 석유로
    연료탱크를 가득 채우고 스리랑카 고무로 만든 프랑스제
    타이어를 삽니다. 집에 와서는 영국제 양모 코트를 걸어놓고
    이탈리아제 구두와 이집트제 면셔츠를 벗고 홍콩 로우브를
    걸치고 대만제 슬리퍼를 신는답니다.

    그리고 나서 이 친구는 일본제 TV를 켜고, 한국제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TV디너(냉동 간이식사)를 집어넣고,
    브라질 커피를 멕시코제 컵에 따르고 오스트리아제 파이프에
    터키산 담배를 채우지요. 그리고는 싱가포르제 전화기를 들고

    나한테 전화를 걸어 미국의 무역적자가 왜 그렇게 엄청나냐고
    불평을 한답니다.”

    1. Give me liberty or give me death.
      A fifth-grade teacher asked her class, “Who said, ‘Give me
      liberty or give me death?’” “Patrick Henry!” they all shouted.
      “Can any of you tell me who said, ‘I have come to bury
      Caesar, not to praise him’?”
      One boy raised his hand and said, “The undertaker.”

    5학년 담임교사가 학생들에게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말을 한 사람이 누구냐?”고 물었다.
    “패트릭 헨리에요!”라고 모두 소리쳤다.
    “‘시저를 찬양하러 온 게 아니라, 묻으러 왔다’고 말한 건
    누군지 알아?”
    한 아이가 손을 들고 말했다: “장의사였습니다.”

    1. A sign on the wall of a doctor’s office:
      “To avoid holes in our carpets and your lungs, please
      Refrain from smoking.”
      어느 의사의 진료실 벽에 붙은 팻말: “우리 카펫과 당신의
      허파에 구멍이 나지 않도록 담배 피우는 것을 삼가해
      주십시오.”

    1. Comedian Bob Hope’s definitions of the
      three forms of government:
      Socialism: You have two cows. The government takes both
      of them and gives you the milk.

    Communism: You have two cows. The government takes
    both of them and sells you the milk.
    Capitalism: You have two cows. You sell one of them and
    buy a bull, and the government taxes you for that.

    코미디언 밥 호프가 정의한 3가지 정부형태.
    사회주의: 당신이 두마리의 암소를 가지고 있을 때, 정부가 두
    마리를 다 빼앗아 가고 당신한테 우유를 준다.

    공산주의: 두 마리의 암소를 가지고 있으면 정부가 두 마리를
    다 빼앗고 당신한테 우유를 판다.

    자본주의: 두 마리 암소를 가지고 있을 때, 당신은 그 중 한
    마리를 팔아서 황소를 산다. 그리고 정부는 그것에 대해 세금을
    거둔다.

    1. “He simply pointed out that people have
      thirty-two teeth but . . .
      A dentist and an otolaryngologist sat side by side aboard a
      plane by chance. “I wanted to become an ENT doctor

    myself,” said the dentist, “but my father talked to me into
    becoming a dentist.”
    “How did he do that?” asked the ENT doctor.
    “He simply pointed out that people have thirty-two teeth but
    only two ears, one nose, and one throat,” replied the dentist.

    치과의사와 이비인후과 의사가 비행기 안에서 우연히 한
    자리에 나란히 앉게 되었다. “저도 사실은 이비인후과 의사가
    되고 싶었어요.” 치과의사가 말했다. “그러나 우리 아버지가
    치과의사가 되라고 설득했답니다.”

    “어떻게 설득했는데요?” 이비인후과 의사가 묻자 치과의사가
    대답햇다. “사람에게는 치아는 서른 두개나 있지만 귀는 두개,
    코는 하나, 목도 하나뿐이라고 말씀하셨지요.”

    1. My wife is in great pain.
      A man telephoned his family doctor in the middle of the
      night and said, “My wife is in great pain. I’m afraid it’s
      appendicitis. Please come over right away!”

    “I took out your wife’s appendix two years ago. Don’t you
    remember?” said the doctor irritably.
    “I know, but I’ve got another wife now!” replied the man.

    어떤 사람이 한밤중에 의사한테 전화를 걸어 “우리 집사람이
    통증이 심합니다. 맹장염인 것 같아요. 즉시 왕진 좀
    와주세요!”

    “부인의 맹장은 내가 2년전에 잘라냈는데, 기억이 나지
    않으세요?” 의사가 짜증스럽게 말했다.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른 마누라라구요!” 그 사람이
    말했다.

    1. Everybody in the class raised a hand.
      The Sunday school teacher smiled at her pupils and
      exclaimed, “All right, class, all those who want to go to
      heaven raise your hands.”

    Everybody in the class raised a hand, except Billy.
    “Don’t you want to go to heaven, Billy?” asked the teacher.

    “I can’t, ma’am. My mom told me to come straight home,”
    said Billy.

    주일 학교 선생님이 학생들을 보고 웃으며 외쳤다. “자,
    여러분, 천당에 가고 싶은 사람은 모두 손들어 봐요.” 모두 손을
    들었으나 빌리만은 손을 들지 않았다. “빌리 넌 천국에 가고
    싶지 않니?” 선생님의 질문에 빌리가 대답했다. “전 갈 수
    없어요. 우리 엄마가 ‘곧장 집으로 오라’고 하셨어요.”

    1. An Icelandic travel agency ad. in the
      New York Times:
      “Honeymoon in Iceland, where you have longer nights!”
      뉴욕 타임즈에 난 어느 아이슬랜드 여행사 광고문: “밤이 긴
      아이슬랜드로 신혼여행을 오세요!” (북극에 가깝기 때문)
    2. They had the Bible, and we had the land.
      Desmond Tutu, bishop of Johannesburg, South Africa, and
      winner of the 1984 Nobel Peace Prize, leads the blacks’
      fight against the apartheid. At an ecumenical service in
      New York, he demonstrated his sense of humor:

    “When the European missionaries first came to Africa,” he
    said, “They had the Bible, and we had the land. They said,
    ‘Let us pray.’ We closed our eyes. When we opened them,
    the tables had been turned; we had the Bible, and they had
    the land.”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의 주교이며 1984년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데스먼드 투누는 인종분리정책을 반대하는 흑인
    투쟁을 주도했다. 뉴욕의 카톨릭 교회 예배에서 자신의
    유머감각을 선보였다.

    “유럽선교사들이 처음 아프리카에 왔을 때 그들은 성경을 갖고
    있었고 우리는 땅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기도합시다’라고
    말하기에 우리가 눈을 감았다 떠보니 상황은 정반대가 되어
    있었습니다. 성경은 우리가, 땅은 그들이 갖고 있었습니다.”

    1. Each day he wrapped his garbage in gift
      paper
      If the garbage workers in your community ever go out on
      strike, you might like to know how a wise New Yorker
      disposed of his refuse for the nine days the sanitation
      workers were off the job last summer.

    Each day he wrapped his garbage in gift paper. Then he
    put it in a shopping bag. When he parked his car, he left
    the bag on the front seat with the window open. When he
    got back to the car the garbage always had been collected.

    당신이 사는 지역의 청소부들이 파업할 경우를 대비해서,
    현명한 뉴욕 시민이 작년 여름 9일간의 청소부 파업때 어떻게
    자기집 쓰레기를 처분했는가를 알아두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매일 그는 자기 집 쓰레기를 선물용 포장지에 싸가지고
    쇼핑백안에 집어넣어서는 그 백을 자신의 차앞 좌석에 놓아
    두고 창문을 열어놓았다. 그가 볼일을 보고 차로 돌아와 보면
    그 선물은 누군가가 집어가고 없었다.

    1. Each of us should give a twentieth!
      A minister was pleading for funds for his church. “The Lord
      has done so much for you,” he said to the congregation.
      “You should do something in return. Each of you here

    today should give a tenth of your income.” One member
    was overcome by the sermon. “A tenth isn’t enough,” he
    shouted. “Each of us should give a twentieth!”

    목사님이 교회 헌금을 호소하고 있었다. “주님께서 여러분을
    위해 많은 일을 하셨습니다. 여러분도 보답을 하셔야 합니다.
    오늘 여기 모이신 여러분 모두 소득의 10분의 1을(십일조)을
    내셔야 합니다.” 이 설교에 감동한 한 교인이 외쳤다. “10분의
    1은 충분치 못 합니다. 우리 모두 20분의 1을 내도록 합시다.”

    1. Are Americans getting stronger?
      Twenty years ago, it took two adults to carry twenty dollars’
      worth of groceries. Today, a five-year-old can carry it. Are Americans getting stronger?

    20년 전에는 20달러어치의 식료품을 들자면 어른 두명이
    필요했는데 오늘날에는 5살짜리 꼬마도 든다. 미국인은 힘이 더
    세어지고 있는 것일까?

    1. Why don’t you stop the knife on the
      steak?
      Woman: This steak is like leather, and the knife is dull.
      Waiter: Why don’t you strop the knife on the steak?

    여자: 스테이크는 가죽같이 질긴데 칼은 들지도 않아요.
    웨이터: 칼을 스테이크에다 대고 갈지 그러세요.

    1. We will discuss your family problems. The
      Sunday school teacher has just finished a talk about Adam
      and Eve when one of the children said, “But my father says
      we are descended from monkeys.”

    “After class we will discuss your family problems,” replied
    the teacher.

    주일 학교 선생님이 아담과 이브에 관한 얘기를 끝내자마자 한
    학생이 말했다. “우리 아빠가 그러시는데 우리는 원숭이로부터
    진화했다던데요.”

    “너희 집안 문제는 주일 학교가 끝난 뒤에 얘기하자구나.”
    선생이 말했다.

    1. Don’t you see it isn’t dry yet?
      Mark Twain once visited a famous artist’s studio. When he
      started to touch one canvas, the painter cried, “Don’t touch
      that! Don’t you see it isn’t dry yet?”

    “I don’t mind,” said Mark Twain, “I have gloves on.”

    마크 투웨인(미국 근대소설의 시조)이 한번은 꽤 유명한 화가의

    화실을 방문했다. 그가 화폭에 손을 대려하자 화가가 “손대지
    마세요! 아직 마르지 않은게 안 보이세요?라고 소리쳤다.

    그러자 트웨인은 이렇게 대꾸했다. “괜찮소. 난 장갑을 끼고
    있으니까요.”

    1. “I just say: ‘He told a joke. Laugh!’”
      An American diplomat spoke to a large crowd at a
      public meeting in Ivory Coast, Africa. Out of respect for the audience and for the interpreter, he spoke slowly. He also
      told some jokes very slowly. After each joke, he
      was amazed at how the translator used only a few words to
      make the crowd roar with laughter.

    Afterwards the diplomat asked the interpreter, “How did you
    manage to tell each joke so rapidly?”

    “Oh, it’s easy,” said the interpreter. “I just say: ‘He told a
    joke. Laugh!’”

    미국 외교관이 아프리카의 아이보리 코스트에서 열린
    군중집회에서 연설하고 있었다. 청중과 통역을 위해서 아주
    천천히 말했다. 농담도 하곤 했는데 역시 천천히 했다. 농담할
    적마다 통역은 몇 마디하지 않았는데도 청중들이 신나게
    웃었는데, 신기하게 여겨졌다.

    나중에 통역관을 보고 “어떻게 그렇게 빨리 내 농담을 통역할
    수 있었느냐?”고 묻자 통역관은 대답했다.

    “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지금 이 분이 농담했으니 여러분
    웃으세요’”라고요.

    1. Whose do you polish?
      A foreign diplomat saw President Lincoln polish his own
      shoes.: “Mr. President,” he asked in amazement, “do you
      polish your own shoes?” “Yes,” Lincoln said, “Whose do
      you polish?”

    외국 외교관이 링컨 대통령이 구두를 닦고 있는 것을 보고
    놀라움으로 물었다. “각하, 각하께서 각하의 구두를
    닦으십니까?” “그러믄요.” 링컨이 말했다. “당신은 누구 구두를
    닦소?”

    1. A little kid, boarding the school bus, said
      to his pal:
      “I hope traffic is heavy. I have to finish my homework in the
      bus.”
      스쿨버스를 타면서 한 꼬마가 친구에게 하는 말: “교통이
      복잡했으면 좋겠어. 버스를 타고 가면서 숙제를 끝내야 하니까
      말야.”
    2. “How did you figure it out?”
      During Stalin’s reign of terror, a group of Moscow

    University archaeologists found a mummy in a Siberian dig
    and began their work to determine its age.

    “Leave it to us,” said the secret police agent who had
    accompanied them to the excavation site. ” I think that job
    belongs in our jurisdiction.” Back in Moscow, the secret
    police announced that the mummy was 5,835 years old.

    “Amazing,” said one of the archaeologists. “How did you
    figure it out?”

    “It was a piece of cake,” said the secret police spokesman.
    “The mummy confessed!”

    스탈린의 공포정치시대에 일단의 모스크바 대학 고고학
    교수들이 시베리아에서 ‘미라(부패하지 않게 잘 보관된 옛날
    사람들의 시신)하나를 발굴하고는 그것이 얼마나 오래 된
    것인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것 우리한테 맡겨두시오.” 발굴장소까지 이들을 따라간
    비밀 경찰 요원이 말했다. “그 일은 우리 소관이라 생각하오.”

    모스크바로 돌아왔을 때 비밀경찰은 ‘미라’나이가
    5,835년이라고 발표했다. “놀랍군,” 고고학자중의 한 사람이
    말했다. “어떻게 알아냈습니까?”

    “식은 죽 먹기죠.” 비밀 경찰 대변인이 말했다. “미라’가
    자백했어요.

    1. “I mean the lady next to her.”
      At a party, one man turned to the other and said, “Who is that awful-looking lady in the corner?”
      “Why, that’s my wife,” said the second man.
      “Oh, I don’t mean her,” said the first man. “I mean the
      lady next to her.”
      “That’s my daughter,” cried the second man.
      파티에서 한 사나이가 옆 사람에게 물었다. “저 구석에 있는 못
      생긴 여자는 누구죠?”
      “왜요? 우리 집 사람이오.” 옆 사람이 대답했다.
      “아, 그 여자 말고요, 그 여자 옆에 있는 여자 말입니다.”
      먼저 사나이가 말했다.
      “내 딸이오!”

  • 두번만 읽으면 끝나는 영문법 1

    읽어두기

    태생적으로 영어를 입에 물고 태어나는 자들이 있는 반면, 삶의 거의 절반을 영어공부에 바쳐야 하는 대한민국의 젊은이들도 있지요. 시간적 낭비와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하고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필자는 “두번만 읽으면 끝나는 영문법”을 집필(1997년~)하게 되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뜨거운 사랑 덕분에 수년동안 베스트셀러 1위(외국어부문, 종합2위)라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끊임없는 성원과 개정판에 대한 요청에 부응하고자 새로운 얼굴로 돌아왔습니다.    

    본서는

    1. 학습효과를 위해 문법의 도우미 역할에다 중점을 두었습니다. 문법과 회화를 따로 공부하는 기존의 방법에 대한 변화를 단행하였습니다. 즉, 어휘를 문법에 맞추어 문장조립을 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집필되었습니다. 

    More one가 아니고 One more인가를 문법적 틀에 갇혀 “수사가 비교급보다 앞에 온다”는 식의 학습에만 치중하게 된다면, One more라는 말 자체보다 문법이론만을 기억하게 될 수 있습니다. 문법은 영어학습을 위한 좋은 도구일뿐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문법은 어렵다는 기존의 선입견을 타파하고, 흥미를 더하여 학습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고려했습니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영문선택은 물론이고 수필식의 설명을 도입하여 비교적 수훨하게 문법의 다리를 건널 수 있도록 했습니다.
    • 본서는 각장마다 Warming-up, 즉 다룰 내용을 소개해 놓았습니다. 따분하게 보일 수도 있기에 대충 훑어보거나 생략하고 Welcome!으로 바로 직행하면 될 것 같습니다.

    Copyrightⓒ2016 by Jin Yong Ben (Ben Bae)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or mechanical, including Bae Jin Yong (Ben Bae) photocopying and recording, or introduced into an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out the written permission of the copyright owner and the publisher of this book. Brief quotations may be used in reviews prepared for inclusion in a magazine, newspaper, or for broadcast.

    학습의 필요성

    문법은 몰라도 무조건 말만 잘 하면 된다고 하는가 하면, 문법만 해놓으면 말은 걱정 안해도 된다고도 하여 어리둥절하게 합니다. 공부를 시작도 하기전에 방법만 찾다가 세월을 날려보내게도 됩니다. 

    사실, 한국말을 배울적에도 문법부터 배우지는 않았습니다. 어린이는 누구나 언어습득에는 천재라는 것입니다. 몰캉한 뇌는 언어습득을 위해 좋은 내적 환경이라는 것이지요. 외적환경은 어떤가요?  유치원생은 선생님이 많습니다. 집안에서는 가족, 밖에서는 친구, 학교에서는 선생님, 사방이 선생님이라는 거지요. 문법에 맞게 말이 다듬어지는 과정을 겪게 되는 거지요. 여러분은 유치원생처럼 학습할 수는 없습니다. 이해력과 지혜로 극복해야 합니다.

    영문법 공부가 결코 목적이 되어서도 안 되겠지만, 영문법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고서는 바른 영어를 구사할 수가 없습니다. 즉, 영문법은 영어공부를 위한 최소한의 필수도구인 셈이지요. 본서를 통한 알찬 결실로 문법의 다리를 건너 회화, 쓰기, 읽기를 흥쾌이 맞이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두번만 읽으면 끝나는 영문법!

                                                                                                    저자   배진용 올림

    차례

    1. 관사

    부정관사 a

    정관사 the 뭐에 필요한가

    2. 동사

    동사네 집안 사람들

    동사의 운명

    동사의 시제

    3. 조동사

    can

    막강권세의 DO

    May/Must/Shall/Will

    조동사도 가지가지

    4. 능동태와 수동태

    능동태와 수동태

    By + 목적어가 통용되지 않는 농땡이 군단들

    수동태는 필요한가?

    주의해야 수동태들

    5, 시제

    시제의 일치

    화법이란 무엇인가?

    6. 가정법

    직설법과 명령법, 그리고 가정법

    7. 부정사

    To 부정사와 To 없는 원형 부정사

    8. 분사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분사의 성격은 어떤가

    분사구문의 탄생

    분사구문의 성격은?

    분사구문에 접속사가?

    완료형과 수동태의 분사구문은 어떻게?

    독립을 주장하는 분사구문

    9. 동명사

    동명사의 탄생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동명사의 완료형이란?

    be동사의 동명사형

    동사의 종류와 잡식성 동사

    10. 명사

    명사의 종류

    수사인간은 셈을 하는 동물이다

    소유격과 명사의

    11. 대명사

    인칭대명사/소유대명사/재귀대명사

    의문대명사/지시대명사/부정대명사

    12.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종류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

    13. 형용사

    14. 수사

    서수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숫자를 읽는 방법

    암기해둬야 수사의 관용적 표현

    기타 수사의 무리

    15. 부사

    16. 비교급과 최상급

    17. 전치사

    18. 접속사

    19. 도치, 강조, 생략

    1.    관사

    Warming-up

    관사의 집안에는 두 연인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있는데, 수 세기동안 동거를 해왔다. 이들의 풍채는 볼품없지만 명사 앞에 자리잡고서 명사의 수와 성격을 지배하는 강력한 마력을 지니고 있다.

    관사의 생김새는 부정관사 a, an과 정관사 the로써 지극히 간단하다. 부정관사는 (不定)이란 말이 설명해주듯 정해지지 않은 관사이고, 정관사는 이미 임자가 정해진 몸이다.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과 정해졌다는 건, 처녀와 아줌마처럼 정체성이 분명하다. 다음을 대충 훑고 몸을 살짝 풀고 난 뒤, 본격적인 시동을 걸어보기로 하자.

    부정관사

    하나의

    a wife 하나의 마누라

    대표단수

    a dog 개라는 동물

    ~ 마다, ~에

    three times a day 하루에 (마다) 세 번

    같은

    an age 같은 나이

    ~(이)라는 사람

    a Miss Lee 미스 리라는 사람

    정관사

    앞서 이미 등장한 명사를 가르킨다.

    The girl is crazy. 그 여자는 미쳤어.

    대접 못 받는 고유명사들 – 무조건 the를 붙인다

    the sun, the earth, the world, the moon

    관용적인 것들

    the most, the only, the very, the same, the last

    in the morning, in the sun, in the wrong

    the가 붙는 농땡이 고유명사들

    the Alps, the Han River…

    the가 붙어서 형용사를 둔갑시킨다.

    rich 부유한 -> the rich 부유한 사람들

    by the + 단위

    by the pound 파운드당

    신체의 일부

    hit me on the head

    the 생략되는 경우

    호격 – 부르는 말

    Gaettonga (개똥아 ㅋ), scratch my back please.

    가족관계

    Mom went shopping to buy my shoes.

    관직, 신분이 칭호, 동격 혹은 보어

    He was elected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원래의 목적 go to church 예배 보러 가다

    식사, 스포츠, 학과 이름 앞 I had lunch with my friends.

    교통과 통신수단 by bus

    밀접한 관계를 갖는 명사 mom and dad

    한 사람일 경우 a monk and barber

    관사의 풍수지리

    as, too + 형용사(부사) + 관사 + 명사

    such a wonderful girl

    quite a wonderful girl

    so wonderful a girl

    all the workers

    both the workers

    half an hour

    Welcome!』 이제부터 본 게임으로

    1. 부정관사

    부정관사에는 a와 an이 있는데 모음, 즉 아 에 이 오 우 (a e i o u) 앞에서 an을 붙인다. 그 이유는 a가 모음인데다 시작하는 단어까지 첫 자가 모음이라면 모음과 모음이 충돌하여 발음에 혼선을 빗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a에다 자음인 n을 잡아다가 함께 동거토록 한 것이다.

    I have an umbrella. 나한테 우산이 하나 있어.

    분명히 기억해둬야 할 것은 단어의 첫자의 스펠링이 아니라 발음이 모음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음 문장을 보자.

    He is an honest man. 그는 정직한 사람이다.

    Honest의 h는 자음이지만 모음 a로 발음된다.

    따라서 an을 잡아와서 앉혀뒀다.

    부정관사 a

    1. 하나의

    I have a wife. 나는 마누라가 있어.

    한국말로 정확하고 친절한 해석을 내린다면, “나는 하나의 마누라를 갖고 있다”가 된다. 마누라 하나인 줄 누가 모르나! 마누라를 하나만 가져라는 경고문인가. 암튼 영어는 자상한 면도 있는 것 같다. 

    2. 대표단수

    대표단수는 종족 전체를 대표한다.

    A dog is a faithful animal. 개는 충실한 동물이다.

    이때의 A dog은 ‘개라는 동물’로 해석되어 한 마리가 종족전체를 대신한다. 한 마리가 종족 전체를 대신할 수도 있지만, 다음의 문장과 같이 여러 마리, 즉 복수형으로 해도 종족 전체를 대표하게 된다.

            Dogs are faithful animals.

    달리 표현하는 방법도 있다. 정관사 the를 붙여도 마찬가지로 종족전체를 대표한다. 왜냐면 개라는 동물을 정해놓고 하는 얘기니까 정관사 the를 붙인다는 것이다.

                The dog is a faithful animal.

    3. ~마다, ~에, = per (~마다)

    I take a shower three times a day.

    나는 하루에 세 번 샤워를 한다.

    Chulsoo called her ten times a day day and night.

    철수는 하루에 열 번 밤낮으로 그녀에게 전화를 걸었다. (미쳤구먼 미쳤어! ㅋ)

    4. ~라는 사람

    A Miss Lee came to see you.

    미스 리라는 아가씨가 널 만나러 왔어.

    인간은 문제를 푸는 동물?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구요.

    A fox is cunning.             

    1. 여우 한 마리가 교활하다.

    2. 여우란 동물은 교활하다.

    3. 여우는 한 마리만이 교활하다.

    4 .맞는 답이 없다.

    정관사 the

    정관사 the가 선호하는 명당조건은 정해진 명사 앞이다.

    다음의 경우도 이 대원칙에 따른다.

    1. 앞에 나온 말을 이어받을 때 쓰인다.

    There is a beautiful girl in the store.

    그 가게에는 아름다운 여자가 한 사람 있다.

    우리말과 같은 이치라 이해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 여자는 미쳤어”라고 할 경우 ‘그’에 해당되는 말이 바로 ‘the’이다. 따라서 The girl is crazy가 된다.

    2. 구태여 언급하지 않아도 ‘그’라는 말만 붙이면 상대가 알 수 있을 때 the를 붙이다. 예를 들어, 이솝의 <늑대와 소년>에서처럼 거짓말을 잘하는 소년에게 자주 속은 사람들의 귀에는 ‘그 소년이 죽었다’ The boy was killed라면 당장 누구인지 알아챌 것이다. 집안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일들을 살펴보자. 방안에서 마누라에게 Open the window라고 하면, the window(그 창문)가 어느 창문인지 마누라는 금새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아니, 뻔히 보고 있으면서 그것도 몰라? ‘그’자를 붙이면 상대가 충분히 알아차릴 수 있는 the를 붙이는 게 당연하지 않는가.

    3. 유일한 존재이면서도 고유명사 취급을 받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이들은 the를 선물 받고 자신을 위로하는 수밖에 도리가 없다. (위에 열거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고유명사는 the를 생략하지만)

    the earth, the world, the sun, the moon, the sea, the sky, the equator (적도)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뜬다.

    4. 관용적인 울며 겨자 먹기이다.

    암기하는 수밖에 없으니까 말이다. 다음 출연진들은 뒤에 오는 명사의 수가 이치상 하나밖에 될 수 없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고유명사가 아니면서) 하나밖에 없다고 판단되는 자리에 정관사 the를 모심은 the가 바라는 명당자리의 대원칙이다. 따라서 형용사의 최상급, only, very, same, last등이 명사 앞에 자리를 차지하면 the가 붙게 된다. 나열보다 the를 직접 만나보는 편이 학습상 효과적일 것 같다.

          the most, the only, the very, the same, the last

    구경을 마쳤으니, 각각의 예문을 하나씩 머리속에다 슬그머니 집어넣어두자. 

    Songi is the most beautiful girl in 이만갑.

    송이는 이만갑에서 가장 아름다운 아가씨이다.

                 (이만갑은 TV프로그램, “이제 만나러 갑니다”).

    이만갑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는 한 사람밖에 없다.

    따라서 the의 명당조건에 해당되는 말이다.

    She is the only girl in my family.

    그녀는 우리 집에서 홍일점이다.

    우리 집 외동딸은 하나밖에 없다. 따라서 정관사 the가 붙게 된다.

    He’s the very man I have been looking for to marry.

    그는 내가 결혼하려고 찾고 있던 바로 그 남자이다.

    the very = 바로 그. ‘그 남자’는 한 사람밖에 없다.

    That is the same price.

    그것도 같은 값이오.

    같은 값의 그것(that)은 하나이기 때문에 the를 쓴다.

    The last thing you should do is (to) tell a lie.

    네가 해야 하는 마지막 일은 거짓말하는 것이다. (x)

    해석이 영 우스꽝스럽네. 정신을 가다듬고.

    거짓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O)

    마지막 것은 하나밖에 없다.

    그래서 정관사 the가 올 수밖에 없다.

    5. 고유명사에는 관사를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the를 붙여주는 것들도 수두룩하다.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해보자.

    우선 비스무레한 것끼리 모아보자.

    산맥 the Alps

    산맥이 아니고 그냥 산이라고 할 때는 the를 붙이지 않는다.

    Mountain Halla, Mountain Everest

    산맥이 있으면 개울이 있고 개울이 커지면 강이 아닌가.

    강 the Han River

    강의 할배는 바다

    바다 the Pacific Ocean(태평양)

    바다엔 배가 있어야죠.

    배 the Queen Mary

    배를 타고 가다보면 섬이 8000개나 되는

    필리핀과 같은 군도도 만날 수가 있을 것이다. 

    군도 the Philippines

    군도는 섬 동아리. 여러 주가 한데 모여서 생긴

    나라는 연방국가.

    미합중국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그 밖에 the를 앞세우는 공공건물들

    the Blue House(청와대), the White House(백악관)

    신문 – 잡지이름 the Times

    예외를 잡아라.

    역, 항구, 호수, 다리, 공항, 공원의 이름앞에는 the를 붙이지 않는다. 서울대공원을 기점으로 서쪽으로 배경이 바뀌어지는 초미니 단편소설의 일부를 탐독해보자. 이건 원숭이도 기억할 수 있을 성 싶다.

    그녀와 나는 서울대공원에 놀러 갔다가 호수를 구경한 다음 한강다리를 건너 서울역에 와서, 그녀는 인천항으로 가고 나는 김포공항으로 떠나며 say goodbye했다. ㅋㅋ 얘기가 제대로 되나 모르겠다.

    6. 형용사 앞에 붙는 관사?

    관사는 명사 앞에만 붙는다고 했는데, 벌써 거짓말이 들통나버렸다. 물론 명사앞에 붙는다는 말은 (관사 + 형용사 + 명사)의 모양을 취한다. 그런데 관사 the가 뒤따르는 명사없이 형용사 앞에 오게 되면 헤까닥해서 뜻을 달리한다. 몇 가지 되지도 않고 건너 불구경하듯 스쳐지나만 가도 될성싶다.

    the rich 부유한 사람들

         the poor 가난한 사람들

         the injured 부상자들 (injured 부상 입은)

    the가 형용사 앞에 와서 그만

    복수의 뜻이 되어 버렸다. 좀 더 구체적으로.

          the rich = rich people

          the poor = poor people

    다음 문장에서 보는 바와같이 동사의 수도 복수로 받게 된다.

                The rich are not always happy.

    부유한 사람들이라고 해서 항상 행복한 건 아니다.

    (부유한 사람이라고 다 행복하면, 나는 마 못 산다. ㅋ)

    The poor are not always unhappy.

    가난한 사람들이라고 해서 항상 불행한 건 아니다. (위로가 되네. ㅋ)

    The injured went to the hospital.

    부상자들은 병원으로 갔다.

    7. by the pound 파운드당, 파운드로

    Corn is sold by the pound.

    옥수수는 by the pound로 팔린다.

    by the + 단위 (hour, dozen, pound)

    by the pound 하나만 확실히 익혀둬도 나머지는 자동으로 해결될 것 같은데. 

    8. 그녀가 나의 머리를 쳤어.

    She hit me on the head.

         한 가지를 알면 열 두가지를 알 수 있고,

    지게를 알면 A자도 알 수가 있지. 다음의 문장을 비교분석해 보자.

    a. She hit me on the head.

    b. She hit me in the head.

    c. She hit my head.

    다 맞는 문장이지만, 쓰임새가 약간씩 다르다. 우선 a와 b를 비교해보자. 일반적으로 a가 자주 쓰이는 표현이지만, 구태여 구별을 하자면, a는 머리위, 즉, 정수리를 때렸다는 뜻이고, b는 머리 어딘가를 때렸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a, b와 c의 차이는 무엇인가? 가령, 야구방망이(벌벌!)나 다른 물체로 머리를 때렸다고 한다면, a나 b를 써야 마땅하다. 하지만, 주먹으로 직접 머리를 때렸다거나 다른 물체의 사용을 언급하고 싶지 않다면, c를 쓰면 된다.  

    9. 습관적으로 쓰이는 the

    특히 회화체에서 밥 먹듯이

    자주 대두되는 말들 속에 the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in the morning

          President Obama wakes up early in the morning.

          오바마 대통령은 아침에 일찍 일어난다.

    in the sun

          A pretty girl is lying in the sun,

          예쁜 여자가 햇볕 아래 누워 있다.

    10. 관사도 생략할 때가?

    호격 – 관사가 필요없다. 호격은 부르는 말인데, 관사를

    붙이는 건 이치상 맞지 않다. 줄리를 부르면 ‘Julie야’라고 하면 되지. ‘the Julie야’라고 한다면 얼마나 우스꽝스러운가.

    Doc, I have a fever.

    의사 선생님, 전 몸살기운이 있어요.

          doc는 ‘도크’가 아니라 doctor의 준말이다.

    가족관계는 무관사. 

          Mother loves dogs.

          엄마는 개를 좋아해요.

    관직이나 신분을 나타내는 말이 칭호, 동격, 혹은 보어로 쓰일 때는 무관사이다. 다음의 보기를 보고 깡그리 머리속으로 직행? 부담갖지 말고 구경만.  

    President John F. Kennedy 케네디 대통령

    Kim Amugae, President of Korea (동격인 경우)

    한국 대통령 김 아무개

    Kim Amugae was elected President of Korea.

                                      (보어로 쓰인 겨우)

    김 아무개는 한국의 대통령으로 뽑혔다.

    교회는 예배가 목적이다.

    예배 보러 간다고 할 경우에는 go to church처럼 the를 붙이지 않는다. 그 밖에 학교에 가는 것도 공부가 목적일 경우에는 go to school로 된다. 잠자리에 들다는 go to bed이다. 그렇다면, the를 선사해서 go to the church가 되면 어떻게 되겠는가? 이 경우에는 교회에 예배가 아닌 다른 볼일로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go to the school이나 go to the bed 역시 마찬가지 이치로 쓰이게 된다. 이처럼 건물이나 시설 따위가 원래의 목적을 나타낼 때는 the를 제외시킨다. 자주 쓰이는 말 앞에 자꾸 붙여주기가 귀찮아지는 점도 언어의 진화과정의 일부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 밖에도 식사, 스포츠, 학과이름 따위는 the가 앞 좌석에 앉아있는 꼴을 못 본다. 문장을 몇 개 익혀두면 쉽게 해결될 것이다.

    I had lunch. 점심 먹었다.

    I played tennis. 테니스를 쳤다.

    I like math. 나는 수학과목을 좋아한다.

    반면에 악기들은 the가 앞에 붙어야 소리가 잘 난다고 한다. ㅎㅎ. 그래서 the가 찰거머리처럼 착 달라붙어있다.

    My wife is playing the piano.

    마누라가 피아노를 치고 있다.

    관사없이 쓰여서 뜻을 달리하는 말들도 있다.

    다음에서 at table과 at sea의 맞는 해석을 찾아보자.

    They are at table.

    그들은 식탁에 앉아 있다. (o x)

    그들은 식사 중이다. (o x)

    They are at sea.

    그들은 바다에 있다. (o x)

    그들은 항해 중이다. (o x)

    아마 아리송했었으리라. 다음을 머리속에 여물게 넣어두자. 

    at table 식사 중

                at sea 항해 중

    a(an)이나 the와 동거를 기피하는 관용표현들이 있다. 이들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통신수단들이다.

    by bus 버스로

    by boat 보트로

    by ship 배로

    by taxi 택시로

    by airplane 비행기로」 (= by air)

    by train 기차로」

    걸어서 가는 건 by foot이 아니라 on foot임을 명심하자.

    by phone 전화로

    by mail 우편으로

    밀접한 관계를 갖는 두 개의 명사가 합심해서 the를 몰아내고 새로운 뜻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공사전 모습은 the가 덕지덕지 붙어 구질구질한 모습이다.

    the day by the day (x) -> day by day 나날이

    the side by the side (x) -> side by side (나란히)

    문장도 날씬하고파 군살을 싫어한다. 두 개의 밀접한 단어가 합심해서 the를 떼버린 경우를 보자.

    mom and dad 엄마아빠

    day and night 밤낮

    day by day 날마다

    side by side 나란히

    step by step 한걸음 한걸음

    관사는 풍수지리에 민감하다

    관사는 명당을 선호하는 까다로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다소 복잡한 면이 있긴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앞에서 공부한 바대로 관사는 명사앞에 둥지를 튼다고 했다. 그러나 영어집안에 어디 관사와 명사뿐이랴. 문장을 접해보고 관사의 풍수지리를 익혀보도록 하자. 인간세상에는 다재다능한 인물이 많다. 그 중에는 의학자인 동시에 철학자, 물리학자인 사람도 있다. 스님인 동시에 이발사라는 현실성 없는 말도 한번 생각해보자. ㅋ

          승려인 동시에 이발사  

    A monk and a barber일까, a monk and barber일까?

    이치를 따져보자. 한 사람이니까, a는 하나만 쓰면 족하다.

    보기문장을 더 살펴보자.

    He met a doctor and patient. (a = 한 인간)

    그는 의사인 동시에 환자인 사람을 만났다.

    의사라고 해서 아프지 말라는 법은 없지 않는가.

    He met a doctor and a patient. (a+a = 두 인간)

    그는 의사와 환자를 만났다.

    such, quite, so 등은 관사의 풍수지리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예문을 하나 들어보자.

    그녀는 기똥찬 여자다.

    She is such a wonderful girl.

    She is quite a wonderful girl.

    She is so wonderful a girl.

    위 예문에서와 같이 such와 quite는 바로 뒤에 관사 a가 뒤따라왔다. 모타리가 작은 a는 자신보다 덩치가 큰 so가 앞좌석을 차지하므로써 지레 겁먹은 것일까. 잽싸게 뒤로 튀어버렸다. 결국 so 다음엔 (형용사 + 관사 + 명사) 순이 된 것이다. 관사가 명사앞에 오는 건 이미 알고 있는 사실, 관사를 제외하고, 나머지를 보면 (소 혁(형)명 = so + 형 + 명)이라고 슬쩍 곁눈질 해두고, 문장을 하나 익혀두고 끝내면 어떨까.

    수와 양을 나타내는 all, both, half는 선봉에 와서 관사 the의 방패막이 역할을 한다. 영어공부에 보약이 따로 있나. 알짜배기 문장을 익혀 두면 그게 보약일테지.

    All the workers in our department are busy all the time.

    우리 부서의 모든 일꾼은 언제나 바쁘다.

    All the workers in my company went on a strike.

    우리회사의 모든 일꾼이 파업을 선언했다.

                            go on a strike 파업하다

    Both the workers on our department are busy all the time.

    우리부서 그 두 일꾼은 언제나 바쁘다.

    Half the workers in our department are busy all the time.

    우리부서의 일꾼 절반은 언제나 바쁘다.

    I waited for her half an hour.

    나는 반시간 동안 그녀를 기다렸다.

                            half an hour 반시간

    as와 too꽁무니에는 형-부(형용사나 부사)가 뒤따른다. 그러나 뒤따르는 명사가 있을 때는 (as, too + 형용사 + 관사 + 명사)순이 된다. as, too 다음에 형용사가 온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그 다음에 관사와 명사중에 관사가 앞서는 건 이미 배운 이치로도 당연한 사실이다. 백문이불여일견이라! 문장을 대면하면 이해가 수훨할 것이다.

    She is not as pretty a girl as my wife.

    그녀는 내 마누라만큼 예쁜 여자는 아니야.

    She is too good a girl to lose.

    그녀는 놓치기에 너무 아까운 여자야.

    Hurray! 이제 관사는 끄읕!!! 동사로 넘어가 봅시다.

    2. 동사

    Warming-up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가 있는데, 이들은 다시 완전 자동사와 불완전 자동사, 완전 타동사와 불완전 타동사로 세분된다. 동사는 또한 문장의 형식에 따라서 그 쓰임새가 달라지기도 한다.

    동사는 인칭과 단-복수, 그리고 시제에 따라서 모습이 달라지는데, 주어가 3인칭이고 수가 단수, 시제가 현재일 경우, 동사에 –s 또는 –es를 붙이면 해결된다. 과거시제가 되면, 동사의 원형에다 –ed를 붙이는데, 물론 무조건 -ed만 붙이면 되는 게 아니며, 여러 규칙이 따른다. 또한 모든 동사가 다 규칙에 따라서 일목요연하게 움직이지 않고, 규칙을 싫어하는 불규칙동사도 있다.

    자동사란 자급자족할 수 있는 동사이며, 타동사란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를 말한다. 불완전자동사는 동사 홀로는 밥벌이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동사를 말한다. 불완전타동사 역시 제구실을 못하는 동사이다. 아래의 문장을 구경하면서, 학습해보자.  

    머리 속으로 쏘옥~!!!

    동사의 종류

    완전자동사 A baby cries.

    불완전자동사 She looks pretty.

    완전타동사 She sang a song.

    불완전타동사 She made me happy.

    동사 – 같은 얼굴 다른 운명

    run 토끼가 run하면 자동사

                슈퍼마켓을 run하면 타동사

    stand 강변에 큰 나무가 stand하면 자동사

          고통을 stand하는 건 타동사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얼굴

          discuss about (x) /discuss(o)

    한국말로는 “~에 관해서 논의하다”로 말이 되지만

    영어로는 ‘~을 논의하다로 해야. 

     ~와 결혼하다

    marry with (x) /marry (o)

    방으로 들어가다.

    enter into the room (x)   enter the room(o)

       미팅에 참석하다

    attend at the meeting (x)   attend the meeting(o)

    시제

    현재

    현재의 동작

    Do not hit me.

    현재의 상태

    She is ugly.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습관

    He smokes everyday.

    불변의 진리

    The sun rises in the east.

    현재가 미래를 대신 왕래발착동사

    leave, arrive 등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과거

    과거의 일

    I was born yesterday.

    역사적 사실

    Columbus discovered America in 1492.

    과거완료대용 after, till, before등과 함께 쓰일 때

    미래

    단순미래

    I shall die. 나는 가만히 둬도 죽는다.

    의지미래

    I will die. 가만히 둬도 죽는 게 아니라 의지력을 발해야.

    완료

    현재완료 have + 과거분사 – 완료 경험 결과 계속

    과거완료 had + 과거분사

    미래완료 will(shall) + have + 과거분사

    진행

    ~하고 있다.

    be동사 + 동사의 원형 –ing,

    Am I trembling? 나 떨고 있니?

    Welcome!

    1. 동사네 집안 사람들

    동(動 움직일 동)사

    = 움직이는 것들 모조리 + 움직이지 않는 것들 모조리

    (think, know, imagine, love, like)

    우리말은 동사가 문장의 꽁무니에 온다.

    나는 당신을 좋아한다,

                 목적어 (당신을) + 동사 (좋아한다)

    영어는 동사가 주어(주인이 되는 말)의 꽁무니에 달라붙는다.

    I love you.

                동사 + 목적어

    동사 집안에는 완전과 불완전, 자동과 타동의 대립이 있다.

    그들을 총집합시켜보면 다음과 같다.

    완전 자동사

    불완전 자동사

    완전 타동사

    불완전 타동사로 나눠진다.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이다. 다시 말해, 동사의 영향력이 전적으로 주어에 미치는 동사이다. 예를 들면, I go에서 go는 자동사이며 목적어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타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이다. 예를 들면, I brought her here(나는 그녀를 여기에 데려왔다)의 문장에서 주어 ‘I’의 동작이 목적어 her에 미친다. 이처럼 주어의 동작이 타인이나 다른 물체에 영향을 미치는 동사를 타동사라고 한다.

    그렇다면 완전과 불완전은 또 뭣인가? 완전 자동사는 뒤따르는 후원자의 도움없이도 동사가 주인의 동작과 상태를 모자람없이 완전하게 뒷받침해주는 동사이다. 따라서 ‘완전하다’는 남의 도움이 필요치 않다는 뜻이다. 예문을 보면, 확실한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A baby cries. 아기가 운다. (완전 자동사)

    아기가 운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뜻이 통한다. 아래의 문장에서 불완전 자동사는 동사뒤에서 후원해주는 말 pretty가 없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She looks pretty. 그녀는 예뻐 보인다. (불완전 자동사)

    Look은 pretty라는 보태주는 말(보어)이 없으면, ‘그녀는 ~하게 보인다’가 되어 뜻이 통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찝찝한 자동사를 불완전 자동사라고 한다.

    She sang a song. 그녀는 노래를 불렀다.

    위에서 주어 she의 목적은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면 she는 목적이 없는 존재가 된다. 즉, 목적어는 ~을, ~를 로 해석됨을 알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목적어에 꽁지가 달린 다음 문장을 보자.

    She made me happy.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했다.

    이 문장에서 ‘를’로 해석되는 목적어가 분명히 있다. 그러나 happy가 없으면 “그녀는 ~하게 나를 만들었다”가 되어 ‘~하게’를 알 수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되고 만다. 그래서 happy라는 구세주가 등장하고 나서야 완전한 문장이 되었다. 여기서 happy는 목적어인 me를 보태주는 말이 되었으므로 이를 목적보어라고 말한다.

    결국 happy한건 me가 된다. 흔히 알기 쉽게, me = happy라는 등식으로 표현해서 이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가 있는 문장을 5형식 문장이라고 하며(여기서 문장형식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목적어만으로 홀로서기가 불가능한 타동사를 불완전 타동사라고 말한다.

    2. 동사의 운명

    동사가 태어날 때부터, 너는 완전 자동사, 너는 불완전하니까 불완전 자동사, 이런 식으로 운명이 정해지는 건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 탈바꿈을 해가며 적응한다. 예를 들어서, 이해해 보도록 하자.

    run

    A hare runs fast. 토끼는 빨리 달린다.

          Run 달리다

    윗문장에서 run은 목적어가 필요없는 자동사이다. 생긴 꼴이 똑같은 다음의 run은 성질이 다른 완전 타동사가 된다.

    I run a supermarket. 나는 슈퍼마켓을 경영한다.

          run ~을 경영하다

    stand

    A big tree stands on the riverside.

    강변에 큰 나무가 서 있다.

    I can’t stand the pain. 고통을 견딜 수가 없어.

                             stand ~을 견디다

    ‘견디다’라는 뜻의 stand는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I can’t stand kimchee”라고 하면 “김치는 지긋지긋해”란 뜻이되며 졸졸 따라다니는 이성에게 “I can’t stand you”라고 했다면 “넌 꼴도 보기 싫어”가 된다.

    농땡이 군단들 – 시험에 자주 등장해서 골탕을 먹이는 동사들이다.

    다음 문장을 영역해보자.

    나는 결혼문제에 관해 의논했다.

    I discussed about my wedding matter. (x)

    근사하게 보이지만, 보기좋게 틀리고 만다. 우리말식으로 생각하면, 틀림없는 문장인데, 영어를 우리말식으로 하는 것은 참으로 위험한 일이다. 

    원어민(native speaker)은 아담과 이브가 에덴동산에서 뱀과 사과를 놓고 흥정할 때부터 discuss를 타동사로 점 찍어 놓았다(그만큼 오래 되었다는 소리지). 따라서 discuss는 단어 자체만으로 ‘~에 관해서 논의하다’, 또는 ‘~을 논의하다’의 뜻을 갖고 있다. 이것만 알면, discuss는 끄읕! 결론적으로 말해서, 타동사는 전치사(about 따위)가 오면 발작을 한다.

    첨언하자면, 앞의 문장에서 ‘about my wedding matter’가 되면 ‘내 결혼에 관해서’가 되는데, 타동사가 바라는 목적어가 아니라, 부사구가 되어 타동사의 얼굴에 먹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바른 문장은 아래와 같다. Discuss를 익혀둬야 시험을 잘 볼 수 있다.

    → I discussed my wedding matter. ( o )

    골탕먹이는 일을 주업으로 하는 동사는 비단 discuss뿐만이 아니다. “나는 그녀와 결혼했다”를 영문으로 옮겨보자. 우선 우리식으로 해보자. ‘~와’ 를 생각해서 with를 넣으면, I married with her가 된다. 이것 역시 보기좋게 틀리고 만다. 바른 문장은 I married her가 된다.

    더욱 웃기는 일은 수동태로 바뀌면, 난데없이 to가 등장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I was married to her처럼 된다. 결혼을 하는 일은 중대사인 만큼 be married to를 확실히 기억해두자. 이걸 모르면, 결혼할 자격없다. ㅎㅎ. ~와 결혼하다가 아니라, ~에게 결혼하다로 익혀두면 웬만해서는 잊어먹지 않을 것이다.

    married with는 퇴출대상인가.

    절대로 그렇지는 않다. She is married with her children이라고 하면, “그녀는 아이들과 결혼했다”(큰일날 소리를!)가 아니라, “그녀는 결혼했고, 아이도 있다”라는 뜻이 된다. 풀어서 쓰면, She is married and she has children이 된다는 소리이다. 한국인이 marry 동사를 익히는데는, 미국인이 결혼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 아이고오~!

    이왕 헛갈리는 김에 한 가지를 더 보도록 하자.

    다음 두 문장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a. I was married to her last year.

    b. I got married to her last year.

    시각적으로는 be동사와 get동사의 차이뿐이지만, 위 두 문장은 엄청난 차이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문장 a는 결혼을 언제 했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작년에 결혼해서 살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아이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정확한 해석은 “나는 작년에 결혼해서 살고 있는 상태였다”가 된다. b의 문장은 “나는 작년에 결혼했다”인데 결혼한 시점을 말하고 있다. 이제 여러분은 외국인과도 결혼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ㅎㅎ

    이웃사촌들도 둘러보도록 하자.

    “도선생이 방에 들어갔다”를 우리식으로 하자면,

    The thief entered into the room일 것 같지만 정답은

    The thief entered the room이다.

    “사장이 미팅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The president did not attend at the meeting이 아니라, at을 빼버린 The president did not attend the meeting이 된다. ‘미팅에’라고 해서 우리말버릇대로 at the meeting이라고 표현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영어에서는 ‘미팅을 참석하다’식으로 한다는 사실을 꼭 명심해두자. 자주 쓰이는 표현이기에, 한 두 문장만 달달 해놓으면 언제든지 총알처럼 튀어나올수 있을 것이다. 문법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것처럼 촌티나는 예도 드물다. 물론 요즘 촌두부등 촌상품들이 좋다고는 하지만 촌놈까지? 글쎄에~!

    3. 동사의 시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과거————–현재————–미래

    나는 태어났다.  나는 살아 있다.  나는 죽을 것이다.

    현재

    얼핏 보기에는 공부를 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 것 같다. 자만과 태만은 금물이다. 가끔 엉뚱한 문제가 출현할 수도 있기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우선 현재시제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를 파악해보자.

    1. Don’t mister me.

    미스터란 말은 빼시오 (영어에서 Mr. 는 존칭).

    즉, “격식을 갖추지 않으셔도 됩니다”가 된다.

    윗 문장은 현재에 동작이 미치는 일이다.

    따라서 현재시제를 쓰지 않을 수가 없다. 

    2.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현재시제를 모신다.

    She is ugly란 문장을 보면 알 수 있다. Be ugly(못생겼다)는 결코 동작이 될 수 없다. 즉, 현재의 상태를 말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나 미래가 될 수 없고 현재시제를 모셔야 한다.

    We are friends by first name. 우리는 친한 친구이다.

    Family name이나 last name은 성(씨)이며 first name은 이름이다. 따라서 서로 가까운 사이에는 first name, 즉 이름을 부르게 된다. 아이고오 쉽다. 우리식과 같아서. 윗 문장도 be동사로서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따라서 현재시제를 쓴다.

    3.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습관적인 동작은 현재시제를 쓴다.

    손가락을 끊었으면 끊었지 흡연만은 끊을 수 없다고 하는 담배골초얘기를 보자. He smokes every day라고 한다면, “그는 매일 담배를 피운다”, 즉 오늘도 내일도 어제도 포함되는 말이지만,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습관을 표현하는 동작이므로 현재시제를 쓴다.

    4. 불변의 진리는 언제나 현재시제이다.

    The sun rises in the east에서 태양이 동쪽에서 뜬다는 사실은 불변의 진리라고 본다. 물론 UFO를 타고 온 사람의 고향에서는 서쪽이나 남쪽, 또는 북쪽에서 태양이 뜰 수도 있고, 태양이 아닌 다른 이름의 등불이 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런 건 인간 힘의 영역밖의 문제이고 영어는 인간의 힘으로 만들어낸 언어가 아닌가.

    사랑하는 연인끼리 자신들의 사랑을 변하지 않는 영원한 진리로 믿을 때 Our love is forever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Our love will be forever보다 강한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랑이란 인간이 가장 변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일 뿐이요, 가장 잘 바뀌는 것 또한 사랑이 아니더냐. 아는 사람은 다 아는데~.

    5. 떠나다, 도착하다(일명 왕래발작동사)

    왕래발착동사는 현재시제가 미래를 대신한다. 왜냐하면 떠나고, 도착하고 하는 말은 동사 자체가 미래의 뜻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I leave for Paris tomorrow morning.

    나는 내일 아침 파리로 떠난다.

    leave for ~로 향해 떠나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I leave Paris tomorrow morning이라고할 경우이다. “나는 내일 아침 파리를 떠난다”, 즉 파리가 목적지가 아니라 떠나는 출발지가 되기 때문이다. 틀리는 빈도수가 많은 문장이므로 잘 익혀두길 바랍니다. 아래 왕래발착동사 arrive도 한 문장으로 끝내도록 하자.   

    My boyfriend arrives here tonight.

    남자친구가 오늘 밤 여기에 도착한다.

    6.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의 생김새와 이 경우, 현재시제가

    미래를 대신하는 이유를 밝혀보자.

    If it rains tomorrow, I will not go to New York.

    내일 비가 온다면, 뉴욕으로 가지 않겠다.

    ‘내일 비가 오면’이란 말은 단지 조건을 말하는 것이지, 비가 꼭 온다는 사실은 아니다. 따라서 미래시제를 말을 하고 있는 지금, 즉 현재시제가 맡게 된다.

    과거

    과거는 강물처럼 흘러가고 용광로처럼 뜨겁게 끝없이 타오르던 내 사랑도 어슴푸레한 세월의 강물에 빠져 허우적대다 사라져버렸다.

    I said that yesterday had been dead and gone.

    나는 “과거는 죽어 없어졌다”고 말했지.

    I was not born yesterday. 나는 철부지가 아니야.

    직역하면, 나는 어제 태어나지 않았다.

    과거시제란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는 건 당연한 말씀이다. 그렇다고 깔보면 큰 코 다치는 수가 있다. 항상 명심을~. 

    1. 과거의 습관을 나타낸다.

    He would go shopping with her.

    그는 그녀와 함께 쇼핑을 가곤 했다.

    원래 would는 will(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의 과거형이지만, 여기서는미래와는 전혀 별개로 단순히 과거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 것이다. would를 “~하곤 했었다”(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의 독립된 단어로 익혀두면 된다.

    2. 역사는 과거가 땀흘려 놓은 업적이지.

    콜럼버스는 1492년에 아메리카를 발견했다.

    역사적 사실이며 과거에 일어난 일이다. 당연히 과거시제를 쓴다.

    Columbus discovered America in 1492.

       1492년이라! 콜럼버스가 내구두(492) 찾으려고 돌아다니다가 구두대신 아무러케나 (America)를 줏었다고 했지. 그로부터 100년 후, 1592년도에는 왜놈들이 조선땅을 ’아무러케나’로 착각하고 쳐들어오는 바람에 이순신형님께서 죽을 고생을 하시다가 그만! Oh my goodness!

    3. 과거완료 대용으로 과거시제를?

    약간 긴장을 요하는 문제이다. 가끔 헷갈리기도 하기 때문에. 일단 과거완료에 대해서 알아보자. 과거완료란 과거에 완료된 일을 말할 때 쓴다는 건 삼척동자와의 대화이다. 우리가 알고자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 진상을 파악해보도록 하자.

    그는 그의 강아지를 때리고 나서 소주를 마셨다.

    (오, 불쌍한 강아지 녀석!)

    윗 문장을 보면 소주를 마신 건 분명히 과거이고, 강아지를 때린 일은

    그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다. 영어로 옮겨보자.

    a. After he beat his puppy, he drank soju. (o)

    b. After he had beaten his puppy, he drank soju. (o)

    둘 다 맞는 문장이다.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a는 접속사 after(~후의)가 동작, 즉 때리는 일과 소주 마시는 일의 전후를 분명히 밝혀주고 있기 때문에 완료형을 쓸 필요가 없다. 이와 비슷하게 사용되는 접속사로는 till, before 등이 있다.

    과거시제는 과거의 경험을 나타낼 때도 쓰인다.

    물론 경험을 나타낼 경우에는 주로 완료형이 쓰이긴 하지만 다음처럼 단순히

    과거시제로 쓰기도 한다.

    Did you ever see a dragon?

    용을 본 적이 있어?

    ever는 ‘여태껏’이란 뜻이다.

    미래

    미래여, 오라! 내 사랑이여, 다시 오라!

    영어에서 현재는 동사의 원형에 인칭에 따라서 –s 또는 –es 를 붙이고 과거는 동사의 원형에 –ed 를 붙여서 만든다고 했다. 그러나 동사의 미래형은 없다. 그래서 동사를 도와주는 조동사 will이나 shall의 힘을 빌려서 미래형을 대신한다. 동사의 미래형까지 있다면 공부하는데 골치깨나 아프겠지. 

    미래시제를 공부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고전적인 방법으로 단순미래와 의지미래에서의 will과 shall의 쓰임새를 빡빡 외울 필요는 없다. 물론, 공부하는 사람의 마음이긴 하지만 말이다. 일단, 다음에서 이들 조동사의 쓰임새를 곁눈질하고 지나가자.

    단순미래

    shall will will (긍정문)

    shall shall will (의문문)

    의지미래

    will shall shall (긍정문)

    shall will shall (의문문)

    오늘날엔 미국과 영국의 본토박이들도 조동사의 쓰임이 헛갈려서 헤매고 있고, 시대적 변천으로 단순미래와 의지미래의 조동사가 뒤섞여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미래조동사표를 참고해서 문장을 익혀두는 편이 가장 좋은 요령이다.

    단순미래?

    단순한 미래를 나타낸다 허허허!

    그렇다면 단순한 미래는 무엇이며 복잡한 미래도 있단 말인가?

    I shall die. 나는 죽을 것이다.

          가만둬도 사람은 죽게 마련이다.

    단순미래의 인칭에 따른 조동사는 긍정문과 의문문 모두 will을 쓰면 된다. 그러나 긍정문의 1인칭과 의문문의 1, 2인칭에는 shall을 써도 된다.

    의지미래?

    평서문에서는 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내고, 의문문에서는 상대방의 의지를 나타낸다. 인칭에 따른 조동사의 변화는 긍정문의 1인칭과 의문문의 2인칭은 will이다. 나머지는 모두 shall.

    I will die. 나는 죽겠다.

          단순미래처럼 저절로 죽는 것이 아니라, 자살하

    겠다는 의지가 담긴 말이다. 달리 표현하면 I will kill myself. 세상에서 가장 큰 죄악이 자신의 목숨을 선물해준 신(하느님)의 은혜를 저버리고 선물(목숨)을 스스로 포기하는 일이 아닐까 싶다. 왜 자살을?

    You shall die.

    과연 무슨 뜻일까? 의지미래란 문장을 이끄는 주어의 의지가 아니라, 말하는 사람, 즉 화자의 의지를 말한다. 즉, You shall die에서 주어는 You이지만, 화자는 I이다. 윗 문장을 달리 표현하면, 다음의 세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사역동사 let과 make는 뉘앙스의 차이가 있으므로 유념하길 바란다. Let은 ‘내버려두다’의 뜻이 있고, make는 하도록 한다는 뜻이 있다. Let her go는 ‘그녀를 풀어주라’는 뜻이 된다. 다음을 보자.

    You shall die = I will let you die.

    나는 네가 죽게 내버려두겠다.

                            I will make you die.

    나는 네가 죽게 하겠다.

    I will kill you. 나는 너를 죽이겠다.

    의지미래의 의문문은 상대방(즉 You)의 의지를 묻는다.

    Shall I go? 갈까요? 가도 될까요?

    shall will 특수용법

          shall은 예언을 나타낸다.

    Seek, and you shall find.

    구하라 그러면 얻을 것이다.

    will은 현재의 습관을 나타낸다.

                He will not say a word at table.

                그는 식사 중에는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

    will은 고집을 나타낸다.

    The door won’t open.

    문이 열리지 않는다.

    그 밖에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에 be going to가 있다.

    I’m going to marry her.

    나는 그녀와 결혼하려고 한다.

                             be going to 동사의 원형 = ~를 하려고 하다

    말이란 문법에 맞게만 한다고 완전한 문장이 되는 게 아니라는 것은 상식이다. 문장의 의미가 예를 들어, I’ll love you tonight을 단순한 미래조동사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이라고만 생각한다면, 중요한 의미를 놓치게 될 것이다. I’ll love you tonight는 잠자리를 같이 하겠다는 뜻(물론 남녀 사이에)이 강하다. 다음의 문장을 비교해 보자.

    a. I love you forever.

    b. I will love you forever. 

          윗 문장을 그대로 풀이하면, a. 나는 너를 영원히 사랑한다. b. 나는 너를 영원히 사랑하겠다가 되어, 얼핏보기에는 b가 a보다 뜻이 강할 것 같지만, 사실은 b보다 a가 다 강한 표현이다.

    조동사 will은 조동사의 직책을 떠나면? 

    Will Will write his will at his will?

    한 문장에서 will이 4번이나 들어갔다. 뜻은 무엇일까?

    일단 문장을 해부해 보자. 첫 번째 Will은 조동사, 두 번째 Will은 사람이름(Willam의 애칭), 세 번째는 유서, 제일 마지막의 at his will은 ‘그의 뜻대로’, ‘그 사람 맘대로’, 즉 여기서의 will은 의지이다.

          will power 의지력. -> 윌은 자기 멋대로 유언증을 쓸것인가?

    두번만 읽으면 끝나는 영문법2

  • 영어회화 삼국지 1

    A young man’s dream

    Winter is gone. Spring has come. 황허강은 겨우내내 꽁꽁 얼어붙어 있었다. 하지만 봄기운이 감돌자 맥을 못 추고 녹아내려 물줄기를

    세차게 토해내고 있다. 강물은 밤낮으로 울부짖었지만 at a distance(멀찌감치에서) 바라보는 장면은 여전히 평화스럽게만 보였다.  

    Early in the morning, a flock of ducks flew along the hillside. Occasionally(간간히) 종다리(lark)도 분주히 하늘로 치솟아 올랐다.

    처마 밑 제비(swallow)들도 지지베베 소리를 드높였다. 모두가 봄을 재촉하는 합창(chorus)이었다.

    A young man was silently looking down the river. 무엇인가 깊은 생각에 잠긴 듯, 시선을 강물에다 던져놓고 시종 심각한 표정이었다.

    황허강의 물줄기는 세차게 흘러만 갔다. The man kept sighing. 그러다 한 마디를 신경질적으로 내뱉았다. 

    “Oh dear! What am I supposed to do? 나라꼴이 이게 뭐야.”

    He was not well dressed, but surely good-looking. 얼핏 보기에도 보통 사람이 아님을 알 수가 있었다. 광채를 띤 눈빛, 시원스레 벗겨진

    이마, 쭉 뻗은 키, 점잖게 다물어진 입술이 이를 대변해 주고 있었다.

    Despite his shabby looks, he had a fancy sword.

     

    The man turned around and looked up at the sky. 북쪽 하늘에는 여전히 검은 비구름이 흉측스러운 장막을 드리우고 있었다. It was going to rain soon.

    젊은이는 포켓을 뒤지더니 잎담배를 꺼내어 종이에 말아 빗물었다.

    Thereafter, it started to rain and grew colder. 쌀쌀한 날씨는 따뜻한 아랫목을 떠올렸지만 당장 집으로 돌아갈 생각은 없었다. 

    The rain was getting even heavier. 빗속에다 온몸을 맡기고 피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He did not care about getting wet. About 30 minutes passed. 비에 흠뻑 젖은 채, 여전히 멍하니 서 있었다. 그러다 다시 중얼거리기 시작했다. 

     

    “My ancestors in heaven, please help me. 천하를 호령하시던 선조님들의 뜨거운 피가 저에게 흐르고 있습니다. I’ve never forgotten this. 조상님이시여, 지금 나라는 황폐되고 백성은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I can’t turn away from this. 싸움터로 뛰쳐나가 적들의 목을 사정없이 날려버려야겠습니다.

    For my country and its people. My heart is burning. 부정과 부패로 얼룩져 쓰러져 가는 나라를 차마 눈뜨고 볼 수가 없습니다.”

    The young man started to sob. 슬픔에 겨운 듯, 머리통은 땅바닥을 향해 맥없이 축 늘어져 있었다. Tears were shedding down.

     

    “Oh, my ancestors in Heaven, 조상님께서 그토록 아끼고 사랑하시던 백성들이 지금rioters(도적떼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있습니다. The whole country is in a big mess. 조정에는

    wicked and disloyal subjects (간신배들)이 구더기처럼 버글대고, local government officials (지방 벼슬아치들)도

    썩을 대로 썩어 죄 없는 백성들을 마구 들볶고 있습니다.”

    The young man sighed again and lit a cigarette. His murmuring kept on. 

     

    “입이 있어도 말을 못하고 당하기만 하는 저 불쌍한 백성들!  What can I do for them? 차마 두 눈 뜨고 볼 수가 없어요. Give me power and wisdom. 썩어빠진 벼슬아치와 폭도들을 ASAP(as

    soon as possible) 박살내어 백성들의 한을 풀어줘야겠습니다.”

    The man turned around. 황하의 물줄기는 여전히 굽이치고 있었고, 무심한 강물은 소리 내어 흘러만 갔다. 촌놈은 분노를 이기지 못해

    주먹을 불끈 쥐고 미친듯이 소리를 질렀다. Surely, he knew that it would not do anything. 단지 솟구치는 의분을 참을 수가 없다는

    뜻이었다. 이번에는 바위에다 두 주먹을 내리쳤다. He was only hurting himself. 

    The young man was born and raised in 탁현 누상촌. His name was 유비. 그는 노모를 모시고 돗자리 장사로,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며칠에 한 번씩 돗자리를 장마당에 내다 팔아서 깻묵이나 비지덩어리를 구해오곤 했다. Those were their daily meals. 

    Even though he was from a poor family, the villagers highly respected him. 또한 홀어머니를 잘 봉양하는 효자(filial son)로서도 소문이

    자자했었다. Nobody even knew about his family background and what he would become. 단지, 어머니와 몇 친지들 만이 그의 가문에 대해 알고 있었을 뿐이었다. One obvious thing to the people was that 유비 would not end up his life

    with the mat business. He certainly had other fish to fry.

    유비의 조상 중에 한나라를 다스렸던 경조황제가 있었다. 왕권을 다투는 과정에서 억울한 수난을 당하고 물러나게 되었다. 단지

    직계가족만이 근근이 핏줄을 이어오게 되었다. 

    후한 제12대 영제가 나라를 다스리던 시대였다.

     

    “That’s so weird!” 

    백성들이 여기 저기서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예기치 않은 일들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었다. A red full moon appeared, and blue

    snakes were spotted here and there. 그 뿐이 아니었다. 난데없이 폭우가 쏟아지는가 하면, 암탉이 수탉이 되고, 수탉이 암탉이 되는 일도 일어났다.

    국운이 점점 쇠퇴해지기 시작했다. Most government servants were corrupt. 간신들은 emperor를 등에 업고 주야로 온갖 tyranny(폭정)을 저질렀다. 특히 장양, 조충 등 열명의 eunuch(내시)들의 횡포가 하늘을 찌를 지경이었다. 백성들은 “고추(penis)도 없는 자들이 권력으로 한풀이를 해보겠다고 발광을 해댄다”며 수근대곤 했다. 내시들의 눈에 어린 황제는 장난감에

    불과했다. They could do whatever they wanted to. The Empire was about to collapse. 그런 상태로 어찌 오래 버틸 수가 있었겠는가. 기다리기라도 했다는 듯이 여기 저기서 폭도들이 일어났다.

    Rioters killed people and looted properties day and night. 그들은 다름아닌 황건적이었다.

    황건적의 기세와 노략질은 요원의 불길처럼 번져갔다. But the Emperor had no power to put them down. 백성들의 고초 또한 말이 아니었다.

    They barely survived without knowing their tomorrow. 

     

    유비는 돛자리를 짊어지고 먼 길을 떠났다. 가던 도중에 산허리에서 짐을 풀어놓고 잠깐의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Oh God! What could happen to this country? I gotta do something to save it.” 

     

    어디선가 날카로운 외침이 들려왔다. 

    “Look, the ship. It’s coming.” 

     

    People came out shouting with excitement. 유비는 동편 hillside쪽으로 rapidly 시선을 돌렸다. 기다리던 상선이 마침내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다. 죽었던 자식이 되살아나기라도 한 듯, 모두가 반기며 빠르게 다가가는 모습이었다. They had been waiting for the ship to arrive so long. 

    유비도 상선 쪽으로 발걸음을 성큼성큼 옮겨 놓았다. There were already many people. 마을주민과 아낙네, 그리고 어린 아이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들이 팔려고 갖고 있는 건 과일과 잡다한 농작물이었다. They had to sell them to buy their daily goods. Local traders(지역 상인들)도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salt, containers, bowls, dishes, clothes등의 daily goods(생활 필수품)를 모두 낙양상인들에게 의존하고 있었다.

     

    배는 서서히 항구 쪽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So slowly. 마을주민들은 조급증이 났다. 당장 물에 뛰어들어가서 배를 끌고 올 수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Oh, boy! Come on.” 

    Even before the anchor was cast, the waiting people ran over to the ship.

    “Hold it. Take it easy.” 

     

    상인들은 담뱃대까지 꺼내 휘두르며 몰려드는 인파를 파리떼를 쫓듯 물리쳐야 했다. 

    “Order, please.” 

    막무가내로 몰려드는 사람들! In fact, the villagers wanted to get their stuff before the goods changed hands. 중개인(middle-men)의 손에

    넘어가기 전에 물건을 구해야만 값이 싸기 때문이었다. 유비 was one of them, too. He came forward and said to one of the merchants, 

    “Hi, can I get some tea? The best kind. If you have ginseng, give me some too.”

    상인은 눈을 힐끔거렸다. Then he stepped back and gave 유비 a close and wondering look. 

     

    “What did you say, young man? 차를 사겠다고? You want ginseng too?”

    “Yes, that’s right.”

    상인은 어이가 없다는 듯, 혀를 찼다.

    “Hey, young man, I feel sorry for you.”

    “Why is that?”

    상인은 귀찮다는 표정을 짓고는 다른 손님에게로 얼굴을 돌려버렸다.

    유비는 다소 화가 난 듯 말했다.

    “What’s the matter? Are you not selling tea?”

    “Of course, I’m in. But I do not have the kind you are looking for.”

    “You’re kidding. 고급차가 없다는 말인가요?”

    “고급차? You don’t deserve high-quality tea. I can tell by your appearance. 똑이면 딱이지, 뭐 그리 말이 많은가.”

    상인은 다시 유비의 차림새를 훑어보았다. 허우대는 멀쩡한데, 남루한 옷차림은 차를 살만한 돈이 있을 것 같지 않았다.   

    “Give me a break.”

    유비는 분함을 머금고 사정조로 말했다.

    “Well, it’s just too expensive for you. Don’t bother me. You’re wasting my time. 요즘은 촌놈들이 양반 흉내까지 내려고. 말세야 말세.”

    상인은 시종 유비를 업씬 여기는 투였다.

    “The price doesn’t matter. Just give me some. 촌놈으로 보여도 차 살 형편은 된 단 말이오.”

    “허허 참! 갈수록 태산이네 그려. Get out of here.”

    유비는 화가 났다. He had to bite the bullet. 

    “사실, 차를 내 입에 넣으려고 하는 게 아니오. It’s for my mother. 이 젊은 놈이 뭐 하려고 비싼 차를 마시겠소?”

    “Oh yeah? I don’t care who you’re buying it for.”

    “Tea is my mother’s favorite. 좋은 차를 드셔보는 게 평생 소원이십니다. 저도 효도(filial piety)를 하고 싶고요.”

    “Really?”

    “Of course. I don’t drink tea. Come on. 촌놈이 거짓말인들 제대로 할 수 있겠소?”

    “How can you prove it? 요새는 촌놈 천국인데.”

    A little while later, the merchant turned back to 유비 and asked. 

    “고급차가 값이 얼만지 알기나 하오? Have you ever even seen

    that kind before?”

    “No, I haven’t. 어쨌든 차 값을 톡톡히 드리겠소. 염려를 붙들어 매시고 얼른 차나 내놓으시오.”

    “I’ll tell you what. 촌놈들이 소죽을 끓이듯 뻑뻑 삶아서 꿀꺽대는 건 차 축에도 못든다오. We don’t even call that tea.”

    유비는 상인이 자신을 얕잡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Okay. Now you tell me what the nice tea is.”

    “좋은 차란 말이오, 궁중의 뜰이나 지체 높으신 어른들이 소유하고 있는 차 밭에서 특별 관리하에 재배되는 귀한 풀이오. That’s the right kind.”

    유비는 다시 말문을 열었다.

    “그런 건 본 적도 없소. That’s why I came here to get some. 촌놈에게도 구경 좀 시켜 주시오. Just give me a little. 이렇게 애걸하는데도 너무 하잖소? Come on. 말씀드린 대로 어머님이 차를 좋아하셔서 살아 생전 좋은 차를 대접해 드리고 싶단 말이오.”

    The merchant nodded, finally.

    “What a wonderful son you are! You won. 정말 보기드문 효자(filial son)시구려. 어머님께 드릴 차를 구하러 먼 길을 행차하시고, 안 된다는 차를 촌놈소리까지 들어가며 고집을

    부려대니 말이오. I’m impressed.”

    “과찬의 말씀! 차 좀 사드린다고 뭐 대단한 효자가 되겠소마는.”

    “Well, show me your money now. Money can talk, ha ha.”

    유비의 효심에 상인은 자못 감동된 듯했다. But he was still wondering how much money 유비 had. 유비는 가죽 주머니를 꺼내 들었다. Then he pulled something out of the bag.

    “What is this? 돈을 주셔야지, 그 따위 돌멩이를 어데다 쓰겠소?

    Are you pulling my leg?”

    상인의 인상이 일순간에 일그러졌다. 유비는 태연하게 말했다.

    “Isn’t this enough? You know what this is?”

    The merchant had a close look at it and then shouted with surprise.

    “Oh, my goodness! This must be gold.”  

    “It took a few years to collect.”

    “I can tell. Fantastic!”

    상인의 눈동자가 금세 섬광처럼 빛났다.

    “I want the best tea. Alright?”

    “Sure. Don’t you worry.”

    유비가 꺼낸 것은 한 뭉치의 금이었다. 금덩어리를 받아 든 상인은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세상에 금은 보석을 싫어할 자가 어디 있겠는가. 잽싸게 선실로 달려들어가 자그마한 나무상자를 하나 들고서 궁둥이를 실룩대며 뛰쳐나왔다. 

    “I’ll tell you what. This is only for noblemen.”

    “Is that right? How wonderful!”

    “Of course. I think your mother deserves this as she has such a wonderful son.”

    “Thank you so much. I’ll be your permanent customer. I have more of that sort at home.”

    “You know what? 당신의 효심은 정말 감동이네요. Hurry to your mother with this. She’ll love it. 남은 금덩어리도 제게 몽땅 갖다 주세요. 다음엔 산삼도 준비해 두겠어요.

    “Thanks, I will keep that in mind.”

    “You bet.”

    상인은 담배까지 한 대 건네며 당부를 했다. That was not it. 차상자를 유비에게 건네고는 수 십 미터 배웅까지 나오는 게 아닌가.

    “Take good care of yourself.”

    차상자를 받아 쥔 유비는 선물을 받아 든 어린 아이 마냥, 뛸 듯이 기뻤다. 그리고는 혼자 중얼거렸다. 

    “Oh, I finally got some. 이제 어머님을 즐겁게 해드릴 수 있어. Isn’t that nice? Mother, I am coming back home now.”

     

    유비 was rushing back home, thinking how happy his mother would be when she got the tea. 부두에서 2km쯤 떨어진 지점에 다달았다.

     

    “도적떼들이다!”

     

    All of a sudden, 칼날 같은 scream(비명소리)가 날아왔다. 유비는 놀라 귀를 바짝 치켜세웠다. 강가길을 따라 한 무리의 기마병이 먼지를 일으키며 말가랭이가 찢어지도록 세차게 달려오고 있었다. 유비 was at a loss. 먼지가 삽시간에 천지를 뒤덮어 버리는 바람에 시야가 가려 그들의 정체를 분간할 수가 없어 갑갑한 심정이었다.    

     

    순식간에 장터는 아수라장 (chaos)가 되고 말았다. The merchants and the villagers scattered in all directions. 상인들도 방어용 무기가 있긴 했지만 갑작스레 덮친 폭도들을 당해낼 재간이 없었다. 

    “Not again. Help! Help! Please don’t. Let me go. You bastard!”

    What a mess! 나루터에는 미처 피하지 못한 상인들과 마을사람들의 비명소리가 따갑게 귓전을 파고들었다. 유비 hid himself into the reed

    field. 그리고 나루터에서 벌어지는 광경을 내려다보았다.

    도적떼들은 닥치는 대로 물건을 빼앗고 칼을 휘둘러 댔다. How cruel!  That was not all. 난동을 끝내고 나서, they set fire to the ship. 시뻘건

    불기둥이 하늘높이 치솟았다. 뜨거운 열기는 유비에게도 전해졌으며, 근처의 산짐승들도 통구이가 될 지경이었다.

    “Son of a bitch! You’ll pay for this. 씨를 말려버려야지!”

    유비 was shivering with anger. 당장 나가서 황건적을 처치하고 싶었지만 방법이 없었다. 단지 치솟는 불기둥만 멍하니 바라볼 뿐이었다.  

    황건적은 숫자가 많았으며 논바닥의 메뚜기(grasshopper)떼처럼 바글댔다. 정식으로 무술을 배운 적도 없는 유비가 젊은 혈기만 믿고

    껍죽댈 수는 없었다. 그러다가는 자칫 한방에 개죽음을 당할 수도 있는 일이었다. He himself knew that, too.

    “I will save energy now to take you all down. Let’s wait and see.”

    유비는 중얼거리며 이를 악물었다. Day and night(밤낮으로), 외아들을 위해 조석으로 지극정성 기도를 올리시는 홀어머니를 생각하면 목숨을

    함부로 다룰 수도 없었다. 

    “I need to shape myself up (내 자신을 가다듬어야겠어).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라고 하지 않았던가!”

    The sun was going down. 흙과 돌무더기를 제외하고는 부둣가의 거의 모든 것들이 잿더미가 되어버린 뒤였다. 남은 불씨에서 약간의 연기가

    피어오를 뿐이었다. The screams disappeared as if everything had been just a nightmare. 곧 어둠이 몰려와 대지를 뒤덮을 작정을 하고 있는 듯이

    보였다. 유비 came out of the reeds and started to walk. 빨리 그곳을 벗어나고 싶었다. 갈대밭을 지나 사방이 확 트인 언덕길에 다다랐다. There was no

    longer any place to hide himself. 유비는 다소 불안했다. Fortunately, another reed field appeared not far off. He ran up there. 얼른 자신을 갈대숲에 숨겼다. 휴식을 취하려고 앉으려던 차에 바로 앞에서 어둠을 밝히고 있는 발그스름한 물체를 발견했다. It was a snake looking at 유비. 불길한 징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바로 그때, 어디선가 말발굽소리가 요란하게 들려왔다.

    “Hey, over there!”

    고함소리가 유비의 귓전에 선명하게, 따갑게 날아들었다. Seeing the

    reeds moving, the rioters ran over to 유비. 목숨이 촌각을 다투는 상황이었다. 그의 오른손은 자신도 모르게 차상자를 만지작거리고 있었다.

    “Freeze! Move, and you will be dead meat.”

    도적떼들이 유비를 빙 에워쌌다. 유비는 염불을 하듯 계속 무엇인가를 중얼거렸다. 

    “Is this real or just a dream? I can’t die now. Not yet.”

    The rioters put a sword at 유비’s neck.

    “Who the hell are you?”

    The boss-looking guy poked 유비’s chest over and over with his sword. 

    “I’m just a mere mattress vendor. I got lost going back home.”

    “You got lost? 그렇다면 돛자리는?”

    “I sold all of’em to the merchants.”

    유비는 차상자에 신경을 곤두세워놓고 있었다. 

    “Then you have the money with you, don’t you?”

    유비는 주머니를 뒤적였다. Money was not there. 몇 푼이라도 있다면, 내놓고 흥정이라도 하겠다마는 한 푼도 없으니 난감한 지경이었다.

    “Well, I got no money now.”

    “Where did you put all your money then? 아무리 촌놈이라도 공짜로 돗자리를 모조리 줘버리진 않았을 테니 말이야.”

    “I got all my money stolen, actually.”

    “Don’t get smart. 좋은 말 할 때, 다 내놓을 것이지. As you see, 우린 황건당이다. 말만 들어봐도 무시하지 않나? I’m sure you’ve heard about us. 어려움에 처한 나라와 백성을 구한다고 개고생을 하고 있단 말이다. You know that, right? 우리의

    대장은 장각 어른이시다. 우리와 뜻을 함께 하고 싶지 않은가?”

    “I’m just a humble mattress vendor. 또한 일자 무식군이 올시다.”

    유비가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선뜻 응하지 않고 머뭇거리자, 두목은 화가 난 듯, 당장이라도 유비의 목을 날려버릴 기세였다. 

    “Hey, where is your money? Tell me the truth. 이 녀석이 모가지 아까운 줄을 모르나.”

    유비 kept mum. 혹시 모진 변을 당하지나 않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고향의 어머님이 떠올랐다. He was holding the tea box more tightly. 

    “Right now, we need some money. Come on, boy.”

    유비의 입은 쉽사리 열리지 않았다.

    “Take all your money out if you want to live. 그렇게 한다면 닦아놓은 칼에 네놈의 더러운 피를 묻힐 필요도 없다.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짓을 왜 마다하는 거냐? Do as I tell you to. 끝까지 말을  

    듣지 않는다면 발가벗겨 저 고목에다 매달아 놓겠다.” 다시 날카로운 칼날을 유비의 목에다 대고 을러댔다. 유비 had to avoid the danger at any cost. 하는 수 없이 품속에서 차상자를 꺼내서

    건넸다.

    “Well, this is all I have.”

    “You must be kidding. Is this all? I’m not that dumb, stupid.

    누구를 속이려고 풀잎을 꺼내 놓고 지랄이야.”

    두목은 불만족스러운 표정으로 소리를 질러대며 차상자를 유비에게 도로 던졌다. 유비 felt glad inside.

    “Well, that’s all I have. Please let me go.”

    유비는 애원조로 말했다. What else could he do?

    “Not yet. Hey, guys. 이놈을 발가벗겨 샅샅이 뒤져봐라.”

    두목이 유비를 노려보며, 부하에게 명했다. 당장 두 서너 명이 달려들어 유비의 사타구니까지 뒤졌다. 

    “If any money is found on you, 네놈은 저 강물의 고기밥이 될 테다. You got that?”

    한 녀석이 유비의 가슴팍에서 자그마한 상자를 꺼내 들며 두목을 향해 소리쳤다.

    “No money, but the guy only got this.”

    졸자가 두목에게 차 상자를 열어 보였다.  

    “I’ve already looked at it. Just grass. Oh, hold it. 그거 혹시 차 상자가 아닌가. Give that to me.”

    두목은 뭔가 떠올랐다는 듯이 놀라는 기색이었다. He grabbed the box quickly and brought it to his nose, sniffing.

    “That’s right. This is a good one. 장각 두령님이 이걸 보시면 좋아서 환장하실 거야. 자칫 알짜배기를 놓칠 뻔했네.”

    The boss was chuckling with satisfaction.

    “How dare you have this! 존경하는 우리 장각 두령님도 이런 걸 구하지 못해서 안달이신 데.”

    유비는 차 상자를 돌려받고 싶었다. 

    “Please give that back to me. That’s for my mother.”

  • 효과적인 영어 회화와 문법 학습법

    영어와 한국어만 잘 해도 인생 성공? 

    영어회화 삼국지와 두번만 읽으면 끝나는 영문법으로? 

    잔소리를 좀 하자면. . . 


    인생은 짧고 시간은 없어요.
    Life is short, and we have no time to waste.

    인간을 배우는 일만큼 즐거운 일 또한 없습니다.
    There is no better way to enjoy life than learning about people.

    언어를 익히는 일이 그 핵심입니다.
    Learning languages is at the center of this matter.

    두 가지 주요 과제, 선택과 도전을 기억하도록 합시다.
    Let us remember there are two main tasks in life: choice and challenge.

    흥미와 유익이 있다면 도전의 결과는 배가될 것입니다.
    Interest and benefits will lead you to doubled results.

    The Best One is always ONE.
    We are aiming at that, aren’t we? Haha. 

    Well, actually, we do not necessarily get to the very top, but we should not be too far behind, either.

    All the best!